한은, 전체가구의 57.1% 지난해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받아

 
우리나라 가구 2곳 중 1곳은 집세 마련을 위해 금융권에서 돈을 빌린 것으로 나타났다.

부채보유가구의 10곳 중 6곳이 빚 상환에 어려움을 겪었고, 2곳 가량은 연체한 경험을 갖고 있었다.

◆작년 은행 빚 낸 가구 46.9%…대출 거절 2.4%

25일 한국은행이 지난해 12월 3일부터 28일까지 전국 2119 가구를 대상으로 '2012년 가계금융·복지조사(부가조사)' 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받은 가구는 전체의 57.1%였다.

대출 용도로는 '거주주택 마련'이 34.3%로 가장 많았다. '전·월세 보증금 마련'이라고 답한 가구도 12.6%나 됐다. 집세를 마련하기 위해 금융권에 빚을 진 가구가 전체의 46.9%에 달한 셈이다. 생활자금과 사업자금 마련이라고 밝힌 비율은 각각 25.4%, 12.2%였다.

지난해 은행에 신규로 대출 받았거나 만기연장을 신청한 가구는 전체의 30.0%였다. 그 이유로는 '생활자금 마련'이 31.4%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거주주택 마련'(19.2%), '기존 대출금 상환'(15.2%), '사업자금 융통'(13.7%) 등의 순이었다.

하지만 은행 신규대출과 만기연장 신청가구 중 23.0%는 신청액의 일부만 대출받았고, 2.4%는 대출이 거절됐다. '낮은 소득'(35.7%)과 '담보 부족'(33.7%)이 큰 걸림돌이었다. '신용상태가 나빠져서'라고 답한 가구도 17.3%였다.

은행대출 부족분을 저축은행·새마을금고·대부업체 등을 통해 융통했다는 가구는 전체의 절반 가량(45.4%)에 달했다. 지인에게 꾼 가구도 25.5%나 됐다. 대출을 아예 포기한 가구는 29.1%였다.

◆가계 재무건전성 '취약'…62.3% "앞으로도 빚 갚기 어렵다"

지난해 대출금 원리금 상환액이 가계 총수입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과다부채 가구는 전체 가구의 7.7%에 달했다. 부채보유가구 10곳 중 1곳(13.1%)이나 된다.

부채를 보유한 가구 10곳 중 6곳(58.9%) 가량이 지난해 원리금 상환에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원리금 상환 시 연체한 적이 있다고 밝힌 가구는 18.0%였다. 4회 이상 연체한 가구의 비중은 4.7%나 됐다.

연체 이유로는 '소득 감소'(34.3%)가 가장 많았다. 뒤이어 '생활비 증가'(23.8%), '원리금상환 부담'(21.0%), '자금융통 차질'(9.9%), '납부기일 착오'(9.5%) 등의 순이었다.

부채보유가구 중 향후 원리금 상환에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답한 가구는 62.3%로 집계됐다.

향후 빚을 어떻게 갚을 것이냐는 질문에는 전체의 68.3%가 '소득'이라고 답했다. 부동산·금융자산 등을 처분할 것이라고 밝힌 가구는 17.5%였고, '주거 변경'과 '신규 차입'이라는 비중은 각각 7.0%, 2.8%였다.

가계부채와 관련해 가장 우려되는 대목으로는 '경기 침체'(31.4%)를 1순위로 꼽았다. 이어 '부동산가격 하락'(22.2%), '고용문제'(22.0%), '금리 상승'(13.9%), '주식가격 하락'(3.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계 애로 '물가'…무주택가구 26.9% "5년안에 내집 마련 가능"

가계가 겪고 있는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물가 상승'(30.7%)이 지목됐다. '경기 침체'(19.9%)와 '소득 감소'(19.2%)를 꼽은 비율도 20% 가량 됐다.

'고용 불안'과 '부동산가격 하락'이라고 답한 가구는 각각 8.2%, 5.5%였다.

지난 1년간 부동산 가격이 내렸다고 답한 가구는 34.7%로, '상승'(24.4%)이라고 답한 비중보다 10.3%포인트 높았다.

1년 후 부동산 가격에 대해서는 '현 수준을 유지할 것'(54.0%)이라는 예상이 우세했다. '하락'을 점친 가구는 28.1%로 '상승'(17.9%)보다 10.2%포인트 컸다.

5년 후의 부동산 가격이 오를 것이라 예상한 가구가 38.1%로 '하락'(26.2%)을 점친 가구보다 11.9%포인트 높았다.

또한 무주택가구 3가구 중 2가구(67.0%)가 향후 내집 마련이 가능할 것으로 봤다. 내집 마련 소요기간은 '5년 이내'가 26.9%로 가장 많았다.

정부가 경제정책 추진 시 우선 고려할 사항으로는 '물가와 부동산가격 안정'(41.9%)이 1위로 꼽혔다. 뒤이어 '경제성장'(29.5%), '고용확대'(19.2%), '소득분배'(9.4%) 등의 순이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결정할 때 최우선으로 고려할 사항으로는 '물가 안정'(72.4%)을 택했다. '경제성장'과 '금융시장 안정'은 각각 12.9%, 11.8%였다.

 

저작권자 © 위클리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