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은-상득-명박의 재산 축적 대해부

▲ 특검수사가 진행되면서 대통령 형제들의 수상한 재테크 행태가 백일하에 드러났다.
왼쪽부터 이상은, 이명박, 이상득 3형제. 사진=뉴시스


특검 수사로 이 대통령의 부동산 재테크 ‘생얼’ 드러나 
큰형 이상은 다스 회장은 ‘MB 재산관리인’ 가능성 커 

이명박 대통령 일가의 서울 내곡동 사저 땅 헐값 매입 사건을 파헤치고 있는 이광범 특별검사팀의 수사가 속도를 내면서 특검의 칼날이 청와대를 향하고 있다. 사상 초유의 청와대 압수수색과 대통령 영부인에 대한 수사가 불가피해 보인다. 특검팀의 수사로 대통령 형제들과 그 가족들이 그동안 어떻게 재(財)테크를 해왔는지 그 민낯이 백일하에 드러났다. 포항 동지상고 선후배 관계인 이상은(79)·이상득(77)·이명박(70) 3형제의 재테크와 세(稅)테크 과정에는 불법·탈법과 함께 일반인들이 상상하기 힘든 기막힌 방법들이 동원되었다. 수상한 3형제가 만들어낸 미스터리한 재테크 사연 속으로 들어가 보자.

재벌 못지않은 대통령 형제들 재테크에 국민들 분노
진보당 이정희 전 대표 “MB 퇴임 후 형사처벌 돼야”

지난 11월 1일 오전 9시50분, 서울 서초동 법원종합청사 맞은편 골목에 위치한 이광범 특검사무소 7층 건물 입구에 검은색 에쿠스 차량이 미끄러지듯 멈춰 섰다. 곧바로 뒷좌석 창문이 열리더니 대통령의 큰형 이상은 (주)다스 회장이 변호사와 사위의 부축을 받으며 취재진 앞에 나타났다. 두 차례나 출석을 미루고 심장병을 앓고 있어 병원에 입원했다고 전해진 것과 달리 그는 차에서 내려 걸음을 옮기는 데 별 문제가 없어 보였다. 이 회장의 특검 출두를 지켜보던 인근 서초동 주민들은 대통령 일가의 줄소환에 혀를 끌끌 찼다. 한 상가의 주인은 “먹고살기도 힘든데 대통령까지 국민들을 피곤하게 하고 있다”고 불만을 털어놓았다. 

6억 원은 MB의 돈? 
이상은 회장은 이날 저녁 7시, 특검조사를 받고 나오면서 “이시형(이 대통령의 아들)에게 빌려준 6억 원은 내 돈”이라고 말했다. 돈의 출처에 대해서는 “동생(이상득 전 의원·구속 중)이 출마하면 주려고 모아두었던 돈”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이 회장이 조카 시형 씨에게 돈을 빌려준 시점은 지난해 5월이었고, 총선은 올해 4월이었으므로 동생이 불출마해서 남은 돈으로 시형 씨에게 돈을 빌려줬다는 말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 이와 관련해 민주당 박용진 대변인은 “국민들은 수상한 삼형제의 장롱 속 돈들이 혹시 지난 대선에서 쓰고 남은 불법대선자금의 빙산의 일각이 아닌지 혹은 권력형 비리를 통해 축재한 돈이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며 “돈의 출처와 성격규명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그러자 이상은 회장 측은 “장롱 속 6억 원은 2005년부터 이 회장 개인통장에서 조금씩 뽑아둔 것이다. 사업을 하다 보니 은행에 1000만 원 이상 넣으면 세금을 떼니 자금 출처 때문에 붙박이장에 돈을 보관했다”고 설명했다. 곧이곧대로 믿는다면 세금을 안 내기 위해 고안한 ‘세테크’로 볼 수 있지만, 실제는 이 대통령이 사실상 소유주로 알려진 도곡동 땅을 팔아 투자한 ‘펀드 수익금’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 회장과 이 대통령의 처남인 고(故) 김재정 씨는 1985년 15억 원을 들여 도곡동 땅을 매입했다가 10년 뒤인 1995년 263억 원을 받고 포스코개발에 이 땅을 매각했다. 이 회장은 사업투자금·세금 등을 뺀 매각대금 200억 원 중 자신의 몫 100억 원을 교보생명에 예치했고, 2001년 만기 때 139억 원으로 불어난 돈을 찾아 다시 삼성증권 펀드에 맡겼다고 한다.

2007년 8월 검찰의 도곡동 땅 관련 의혹 수사결과 이 회장은 이 펀드 계좌에서 2002년 7월부터 2007년 7월까지 매월 1000만~4000만 원씩 15억여 원을 97차례에 걸쳐 전액 현금으로 인출한 사실이 확인됐다. 이 회장은 “붙박이장 속 현금은 펀드 투자 수익금을 매달 찾아 쌓아둔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2007년 검찰수사에 따르면, 이 대통령 소유인 서초동 영포빌딩 관리업무를 보던 이모 씨가 이상은 씨 개인계좌에서 매달 현금으로 인출하는 돈심부름을 한 것으로 드러난 바 있다.

이 씨는 현재 이 대통령이 만든 청계재단 사무국장으로 재직 중이다. 이를 종합하면, 이상은 회장이 100억 원이 넘는 돈을 투자한 데 따른 펀드 수익금을 매달 받아 장롱 속에 넣어놓고 쌈짓돈처럼 썼다는 것으로 결국 그 돈은 이 대통령 소유일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가 된다. 그러니 이시형 씨가 돈을 달라고 하자 두말없이 장롱 속 돈을 가방에 챙겨놓은 것이고, 이자도 받을 생각하지 않고 ‘빌려준’ 것이었다는 설명이 가능하다. 이렇게 되면 이시형 씨가 현금 6억 원을 빌리며 이상은 회장에게 건넸다는 차용증은 검찰 수사 이후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대통령의 아들과 대통령의 큰형이 온 국민을 상대로 거짓말을 하고 있는 셈이다.   

이들 3형제의 재테크 행태를 보면 하나같이 ‘부동산 사랑’이 각별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내곡동 땅에 집착했다. 이 대통령의 작은 형인 이상득 전 의원(77)은 내곡동 62-18번지부터 20번지까지 3필지 166㎡와 62-36번지부터 38번지까지의 3필지 1292㎡ 등 모두 1458㎡(441평)의 땅을 소유했다. 이 전 의원이 소유하고 있는 땅은 이명박 대통령의 사저부지로 매입된 땅에서 불과 500m 떨어져 있다.

SD와 MB는 부동산투자 귀재

▲ 문제의 내곡동 사저 부지. 이명박 대통령은 아들 이시형 씨와
함께 사저부지를 둘러본 후 매입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금은 내곡동 일대의 저택 입구가 굳게 잠겨져 있다. 사진=뉴시스
이상득 전 의원은 또 사저 부지에서 1㎞ 떨어진 곳에 밭과 임야 등 13개 필지, 1만 4064㎡(4262평)의 부동산을 보유했다가 1995년과 2003년 두 차례에 걸쳐 이 땅을 국가정보원에 매각한 사실이 있다. 이 땅의 매각과정 역시 수상한 구석이 많다고 한다. 내곡동 땅은 그린벨트지역으로 묶여 있었지만 2006년 이 대통령이 서울시장으로 재직할 때 해제됐다. 이후 보금자리 주택 입주가 시작됐다. 대통령 형제들은 국정원과 청와대경호실 등 주로 국가기관을 상대로 부동산을 되팔아 이익을 많이 남겼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통령 형제들은 부동산을 구입하면서 특히 차명거래를 선호했다. 이상은 회장은 1977년 제주 서귀포시 상효동에 과수원 2필지(6013㎡)를 구입했고, 이 땅은 1978년 중문관광단지 개발사업이 착공되면서 값이 뛰었다. 그러나 이 회장은 돈이 없어 한 달에 25만~50만 원이던 과수원 관리비를 내지 못했다. 관리비는 동생인 이상득 전 의원이 부담해왔다. 자연히 과수원의 실소유주는 이상득 전 의원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그런데 과수원 관리비조차 낼 돈이 없어서 동생에게 대납 받던 이상은 회장은 무슨 큰돈이 생겼는지 1985년에는 이 대통령 처남 고 김재정 씨와 함께 15억 원을 들여 땅을 사게 된다. 바로 이 대통령이 실소유주라는 의혹을 받고 있는 도곡동 땅이다. 이대통령은 자신이 실소유주인 도곡동 땅을 큰형 이상은 씨와 처남인 김 씨 소유로 해놓았다가 가격이 오르자 포스코개발에 비싸게 되팔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3형제 중에서도 이 대통령이 특히 차명거래와 세테크의 귀재인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은 퇴임 후 사저로 쓰일 내곡동 땅을 구입하면서도 자신의 아들인 시형 씨 이름으로 매입 했다. 아들 이시형 씨가 부담해야 될 사저 매입비용 일부를 청와대 경호처가 떠안도록 해 자신의 돈을 아꼈고, 시형 씨가 내야 할 부동산 중개수수료 1100만 원도 청와대 경호처가 대납토록 했다. 하지만 그 사저부지가 자기 땅이라는 사실은 명확히 했다. 부지 위에 지어진 건물 철거비용 3000만 원을 명백히 ‘이명박’ 이름으로 입금한 것이다. 특검 조사에서 이시형 씨가 “내가 내곡동 땅의 실제 매입자”라고 진술했지만 이 또한 거짓말이었던 셈이다.

지난 2007년 대선 때는 이 대통령의 처남 김재정 씨가 약 67만 평의 땅을 전국에 소유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 바 있다. 현대건설 사장 시절 땅에 집착했던 이 대통령의 차명 부동산이라는 의혹을 받고 있다. 하지만 이 대통령은 “남의 이름으로 한 평의 땅도 갖고 있지 않다”고 부인했다.

“퇴임 후 형사처벌 가능성”
이 대통령은 퇴임 후 어떻게 될까. 이와 관련해 이정희 전 통합진보당 대표는 “이 대통령은 퇴임 후 형사처벌 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변호사 출신인 그는 “내곡동 사저 명의를 아들 명의에서 본인으로 변경하라고 이 대통령께서 말씀하셨는데, 이는 그 동안 부동산실명법을 위반했다는 것을 자인한 셈이다. 이 대통령은 부동산실명법에 따라서 과징금을 기준시가 30% 내에서 내야 하고, 또 명의 신탁자와 명의 수탁자인 이 대통령과 이시형 씨는 5년 이하 징역이나 2억 원 이하의 벌금을 물어야 한다. 청와대 비서실도 방조자로서 형사처벌을 받아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최근 한 네티즌은 인터넷사이트 ‘뷰스앤뉴스’의 게시판에 “이승만 대통령이 부정선거로 문제되어 이기붕 가족이 어찌 되었는가 아시겠지요?”라며 이 대통령 가족이 풍비박산이 날 수 있음을 경고했다. 만약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야 할 대통령으로서 나라의 곳간이 줄줄 새게 만들었다면 이 대통령의 앞날은 첩첩산중이다.
 

박스기사 / “연 매출액 1조 1800억원 다스 소유주는 MB”

▲ 이 대통령의 아들 시형 씨가 ㈜ 다스의
경영권을 승계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사진=뉴시스

(주)다스는 MB 일가의 ‘공동 재산’?

㈜다스는 이 대통령 일가의 재테크 백화점과도 같다. 이상은 회장은 1987년 고 김재정 씨와 함께 자동차 카시트 제조업체인 ㈜다스를 설립했다. 김재정 씨는 다스의 감사로 재직했었고, 이 회장은 올해 매출액만도 1조 1800억 원을 바라보는 이 알짜 회사의 최고경영자 자리에 있다.

다스는 국내공장과 해외사업장에 근무하는 직원만도 2800여 명이다. 연간 200만 대 규모의 자동차 시트를 생산하고 있는데 중국의 베이징과 강소성을 비롯해 미국의 앨라배마와 디트로이트, 몽고메리에 공장을 가지고 있으며, 체코, 인도, 브라질 등에도 해외사업장을 운영 중이다. 다스는 2002년부터 올해까지 매년 현대모비스 우수 협력사로 선정되었는데, 이 과정에 현대건설 사장 출신인 이 대통령의 영향력이 없었다면 불가능했다는 지적도 있다.

이 대통령은 다스와는 서류상 아무 관계가 없는데도 금전거래에 개입하거나 투자비를 회수하는 등 능력을 발휘했다. 이 대통령의 저격수로 등장한 김경준 씨(46)는 최근 “다스는 유동성 위기를 겪으면서도 무리를 해서 BBK에 190억 원을 송금했는데, 이는 이 대통령이 다스를 소유하지 않았다면 불가능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김 씨는 최근 출간한 책 <BBK의 진실>에서 “다스의 이상은 회장이나 김재정 감사를 한 번도 만난 적이 없다”고 밝히면서 다스의 실소유주가 이명박 대통령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김 씨는 내곡동 사저 특검팀에 증인으로 출석해 다스의 자금흐름에 관해 진술하고 싶다고 공개적으로 밝혀 이 대통령을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또 BBK 사건 관련 회사인 옵셔널 벤처스 코리아의 소송을 담당해 온 메리 리 미국변호사는 “김경준이 에리카 김과 빼돌린 투자금 380억 원을 다 가지려다 이명박 측이 압박을 가해오자 스위스 계좌를 통해 140억 원을 다스의 계좌로 불법 송금했다”고 주장했다. 이 대통령이 퇴임 후 운영해야 할 회사이기 때문에 직접 개입해 투자비를 회수해놓았다는 설명이다. 

다스의 지분을 가장 많이 가졌던 김재정 감사가 지난 2010년 사망하면서 다스 지분 일부는 이 대통령 부부가 설립한 청계재단으로 넘어갔다. 당시도 대통령의 재산을 차명 관리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2007년 검찰 수사 과정에서 도곡동 땅의 매각대금 17억 원이 다스에 유상증자 대금으로 납입된 사실이 밝혀진 것도 다스 실소유주가 이 대통령이라는 방증으로 꼽혀왔다.  

이 대통령의 아들 시형 씨는 2010년 경북 경주의 ㈜다스 본사에 다스에 과장으로 입사한 후 경영기획실장으로 근무하다 몇 달 전에 이사로 승진했다. 이 같은 초고속 승진은 국내 유명 재벌2세들에게서 볼 수 있는 사례로 사실상 아버지 소유인 ㈜다스의 경영권 승계과정을 밟고 있다고 봐야 한다는 해석이다. 이런 이유로 이상은 회장이 ‘이 대통령의 재산관리인’이라는 관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주]        

 

저작권자 © 위클리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