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2월 이어 올 1월까지 2개월 연속 증가폭 축소

▲ 가계부채 증가세가 줄어들었다 <사진=뉴시스>

[위클리오늘=송원석 기자] 지난해 월평균 수 조원씩 불어나던 가계부채 증가세가 최근 눈에 띄게 둔화돼 그 배경을 놓고 의견이 분분하다.

금융권의 대출 문턱이 높아지고 부동산 시장 열기가 꺾이면서 주택담보대출 수요가 줄어든 탓이라는 입장과 계절적 요인에 의한 일시적 현상일 뿐이라는 입장이 팽팽히 맞서있다.

그러나, 금융권 일각에선 가계부채 증가세 둔화 원인이 어디에 있든, 대출문턱을 높이고 처음부터 나눠 갚도록 하는 금융당국의 대출규제로 가계부채의 질이 개선되고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는 분석이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을 기준으로 두 달 연속 가계대출 증가폭이 축소됐다. 작년 11월(8조8000억원)을 정점으로 지난해 12월 가계빚은 3조4000억원 상승에 그친데 이어 올해 1월에는 불과 1000억원 늘어났다.

이같은 현상은 가계부채 증가세를 주도해왔던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급감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11월 1만1000호에 이르던 서울 아파트거래량은 지난달엔 5000호로 절반 이상 줄었다.

하지만, 1월엔 통상적으로 대출 비수기란 점에 주목해야한다는 전문가들이 많다. 실제 2010년부터 2014년까지 가계부채 동향을 분석해보면 매년 1월엔 평균 1조7000억원이 줄었다.

금융권 관계자는 "12월과 1월 상황을 보고 가계부채가 꺾였다고 판단하기는 좀 이르다"며 "최소한 여름까지 상황을 지켜보고 판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가지 분명한 것은 금융권에서는 주택담보대출 중 고정금리·분할상환 비중이 증가하면서 가계부채의 질이 개선되고 있다는 평가다.

실제로 기업은행은 지난해 1월 36.9%였던 주택담보대출 중 고정금리·분할상환 비중이 매월 증가했고 지난해 말 47.4%까지 상승했다.

우리은행의 경우 2015년 말 38.2%였던 이 비중이 6월 40%(40.2%)를 넘어서더니 지난해 말 기준 44.8%까지 높아졌다.

국민은행은 2015년 말 34.6%에서 2016년 12월 40.9%로, 신한은행은 2016년 1분기 31.0%에서, 4분기 40.7%로 각가 증가했다.

고정금리·분할상환 증가는 임종룡 금융위원장의 '여신 선진화 정책'에 따른 것이다. 즉 '갚을 수 있는 만큼 빌리고 능력 내 상환하는 것'이 핵심으로 가계부채의 무분별한 증가를 막고 금리인상 등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한 처방전이다.

은행 관계자는 "정부의 여신선진화 정책으로 금리·분할상환의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라며 "이 비중이 높아지면 가계부채의 관리가 가능해 지는 수준에 이를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위클리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