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구제역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빠른 대처에 나선다 <사진=뉴시스>

[위클리오늘=강인식 기자] 정부가 구제역 영향으로 소·돼지고기 수급이 차질을 빚는 일이 없도록 철저히 대응하기로 했다.

조류인플루엔자(AI) 방역 실패로 계란 생산이 감소하면서 가격이 치솟아 정부는 늑장대응으로 최악의 피해를 키웠다는 질타를 받은 바 있어 구제역만큼은 선제적으로 대응, 파동을 사전 차단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정부는 지난 10일 최상목 기재부 1차관 주재로 '물가관계차관회의 겸 범정부 비상경제대응 태스크포스(TF) 회의'에서 구제역 파동에 대비해 축산물 수급 대응 관련 TF를 본격 가동키로했다.

정부는 TF를 통해 구제역 발생으로 인한 축산물 공급 감소 우려와 이로 인한 가격 폭등에 대비하기 위한 사전 조치를 마련키로했다. AI사태로 인한 계란대란과 같은 파동을 미연에 방지하자는 것이다.

정부는 무엇보다 혼란을 틈탄 가수요나 중간 유통상의 사재기에 대해 집중 감시를 강화하기로 했다. 전염병이 돌거나 농산물 작황이 안 좋으면 중간 유통상들이 사재기를 하거나 공급 부족에 편승해 가격을 올리는 사례가 반복돼왔기 때문이다.

계란 파동의 경우 정부가 미국산 하얀 계란을 수입해 오면서 사재기해놨던 국내 물량이 대량 방출돼 가격이 8000원대로 안정화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부는 계란 수입 당시 계란과 난가공품의 관세율을 0%로 낮추는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항공편 운송 비용도 50% 지원해 가격 안정을 꾀한 바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수입 계란이 실제로 수요·공급 조절 측면에서 역할을 하기도 했지만 계란을 수입할 수도 있다는 사실, 수입 사전 작업을 시작했다는 점 차제가 시장 참가자들에게 영향을 끼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유통상의 매점매석이 사실이든 아니든 시장에 '언제든 공급 물량을 늘릴 수 있다'는 시그널을 줌으로써 사재기 시도를 아예 막겠다는게 정부의 의도로 해석된다.

더군다나 계란과 달리 소고기나 돼지고기의 경우 시장이 완전히 개방돼 있다는 점에서 공급 확대는 더 쉬울 것으로 전망된다.

신선란을 국내로 들여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지만 국내 시장에서 이미 수입산 축산물은 가격적 메리트를 가지고 있다. 소비자들은 평소에도 비싸서 자주 먹지 못하는 한우를 굳이 더 올랐을 때 사먹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할 가능성이 높다.

기재부 측은 "필요시 수입을 촉진하겠다는 발표는 실제 정부가 여러 조치들을 취할 수 있기 때문"이라며 "축산물 가격의 방향성은 향후 구제역의 진행 속도를 보고 판단해야 하는 만큼 유통상이 무리하게 사재기할 경우 오히려 손해를 보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고 경조했다.

저작권자 © 위클리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