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경련의 명운이 걸린 이사회와 정기총회가 오는 17일, 24일에 열릴 예정이어서 재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사진=뉴시스>

[위클리오늘=방상훈 기자]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의 단초를 제공하며 출범 이래 최대 위기에 직면한 전국경제연연합회의 운명이 약 10일 후에는 결론 날 전망이다.

금융권을 시작으로 회원사의 탈퇴가 줄을 이으며 존폐의 기로에선 전경련은 오는 17일 이사회에 이어 24일 정기총회를 열어 주요 현안 문제를 처리할 예정이다.

만약 이사회와 정기총회에서 전면쇄신을 주도할 후임 회장을 선출하지 선출하지 못한다면 전경련은 해체 쪽으로 저울추가 급격히 기울 것으로 보인다.

허창수 회장이 직접 차기 회장 후보 물색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이유도 바로 이사회와 정기총회를 앞둔 전경련이 처한 절반한 상황을 방증하는 대목이다.

우선 전경련의 주요 현안 문제가 주요 어젠다로 다뤄질 17일 이사회에 관심이 높다. 이번 이사회는 삼성전자 및 주요 계열사가 탈퇴서를 제출한데다가 주요 기업의 회비 납부 중단 여부가 결정된 터라 전경련 존폐 여부에 방향타가 될 전망이다.

이사회 참석대상은 회장단과 상임이사, 이사를 비롯해 회원사 150여곳. 지난달 회장단 회의에 주요 그룹 총수가 모두 불참하며 파행을 겪었기에 이번 이사회 참석자 수가 얼마나 될 지도 관심사다.

현재로선 삼성그룹 전 계열사가 전경련에 탈퇴원을 내면서 분위기는 좋지 않다. SK그룹도 조만간 탈퇴를 구체화할 것이란 설이 나오고 있다.

탈퇴 방침을 정한 다른 기업 역시 이사회 개최 전 탈퇴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나마 10대그룹 중에서 아직까지 탈퇴에 미온적인 곳은 현대차그룹이 거의 유일하다.

주요 그룹의 연쇄 탈퇴로 당장에 올해 사업계획과 예산안 마련부터 난항이 예상된다. 이미 탈퇴원을 제출한 삼성과 LG를 포함해 4대그룹이 회비를 내지 않는다면 전경련 자체의 파행운영이 불가피하다.

재계 한 관계자는 “주요 그룹 계열사의 회비를 걷지 못해 전경련의 올해 예산과 사업계획이 대폭 축소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24일로 예정된 정기총회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이번 정기총회는 2월말부로 사임의사를 밝힌 허창수 회장 후임을 정하는 문제가 주요 안건으로 다뤄질 전망이지만, 마땅한 적임자를 찾지못했다.

정기총회 참석 대상은 회원사 600여곳이며 과반 참석에 과반 찬성이 의결 요건인데, 절반 이상 참석할 수 있을 지부터 미지수다이며, 차기 회장마저 추대하지 못한다면 그야말로 전경련 존폐를 결정하는 자리가 될 수 있는 상황이다.

전경련은 현재 10대 그룹 총수 중에선 회장을 맡겠다는 사람이 없자 한덕수 전 총리, 윤증현 전 기획재정부 장관 등 고위 경제관료 출신의 외부인사 영입까지 타진중이으나 별 성과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경련은 이에 따라 30대 그룹으로 후임 회장 후보 풀을 확대하고 허창수 회장이 철저한 보안을 유지하려고 직접 나서 후임자를 찾았다는 얘기가 흘러나오지만, 결과는 알 수 없다.

문제는 차기 회장이 정해진다해서 전경련의 존립이 보장되는게 아니라는 점이다. 무엇보다 한해 회비 중 절반을 책임지던 4대그룹이 회비 납부 중단을 선언, 조직 유지가 어려워졌다. 그동안 전경련이 600개 회원사로부터 걷는 회비 500억원 중 절반인 250억 정도를 4대 그룹이 내왔다.

전경련 회관 임대수익 400억여원이 있지만, 부채 원리금 상환 등으로 쓰고 있어 회비로 사업 운영과 인건비 지급을 충당해야 하기에 4대그룹 회비없이는 운영에 막대한 차질이 불가피하다.

내부 분위기도 흉흉하다. 일부 직원들이 이직을 했고 대규모 감원설까지 돌면서 직원들이 동요하고 있다. 여론도 악화될 대로 악화돼 해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발전적인 해체냐, 대대적인 수술을 통한 쇄신이냐를 놓고 운명의 이사회와 정기총회를 앞둔 전경련의 앞날이 어떻게 귀결될지 결과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위클리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