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위는 급증하는 P2P대출 상품에 투자하는 투자자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사진=뉴시스>

[위클리오늘=홍정기 기자] 개인 대 개인간 대출거래인 P2P대출 시장이 눈덩어처럼 불어나고 있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소비자들의 주위를 당부하고 나섰다.

P2P는 개인간의 거래이고, P2P업체는 마치 부동산처럼 중개만 해주기 때문에 투자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며 결코 원금보장 상품이 아니라는 점을 소비자들이 충분히 숙지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P2P 대출상품이 간혹 토지에 대한 담보권이 후순위거나 담보가 없는 경우가 존재하기 때문에 관련업체의 "담보대출이니 걱정 말라"는 것은 홍보·광고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금융위원회는 15일 부동산 P2P투자가 급증하는 만큼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여러 사항을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며 유의를 당부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P2P업체들이 '취급 상품은 안전하면서 수익률도 높은 상품'이라고 적극 홍보에 나서며 빠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부동산 P2P시장은 지난해 9월 1216억원에서 올 1월 2214억원으로 2배 가량 급증했다. 전체 P2P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같은기간 58.3%에서 66%로 급증했다.

금융위는 부동산 P2P대출상품이 다른 대출상품 보다 안전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투자 결정시 많은 사항을 살펴봐야 한다고 경고했다.

가령 건축자금 대출(PF)일 경우 사업계획의 타당성과 시행·시공업체의 안전성 등 부동산 사업 관련 리스크를 면밀하게 파악해야 한다는 것이다.

만약 담보물 소유권을 신탁회사에 이전하는 경우 시공사의 파산이나 부도시 제3의 채권자로부터 재산권 보호에 유리하다.

금융위 관계자는 "수익률이 높은 만큼 높은 위험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다"며 "일부 P2P는 투자의 유리한 측면만 부각하고 위험요인은 축소해 합리적 투자결정을 저해하는 만큼 투자 전 대상을 직접 확인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P2P금융협회가 공시한 지난 1월 기준 P2P업체 부실은 40개 회사 중 7개 업체에서 발생했으며 부실률은 평균 0.20%였다. 업체별로는 빌리가 2.24%로 가장 높았고 펀다(1.79%), 팝펀딩(1.19%), 8퍼센트(1.12%), 렌딧(1.11%) 등의 순이다.

저작권자 © 위클리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