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Q 주담대잔액 359조여원, 작년말대비 3조원 이상 줄어

▲ 집단대출 규제 여파로 인한 주택매매와 신규분양 감소로 은행권 주택대출 증가폭이 전년동기 대비 절반수준으로 뚝떨어졌다. <사진=뉴시스>

[위클리오늘=최희호 기자] 눈덩이처럼 불어나던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이 반토막이 났다.

작년 정부의 11.3 부동산규제정책의 타깃인 집단대출 기준 강화로 인해 집단대출이 급감한 여파로 풀이된다.

정부가 가계부채 대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금융권의 대출 심사를 강화한 것도 주요인 중 하나로 풀이된다.

대출이 까다로워지자 아파트 등 주택 매매 자체가 줄어들고 분양 물량이 줄면서 결국 대출 증가세가 한풀 꺾인 것이란 해석이다.

은행권의 주택담보 대출 증가 폭은 1년 전과 비교하면 거의 절반 수준으로 뚝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 1~2월 은행권의 주택대출 증가액은 2조9000억원으로 작년 같은기간 약 5조원에 비해 58% 수준에 머물렀다.

여기엔 보금자리론 등 정책 모기지론이 포함된 것으로 이것을 제외하면 시중은행의 주택대출은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다.

한은에 따르면 정책모기지 상품인 보금자리론이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금리 인상 예고에 목돈이 필요한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은 정책모기지 상품을 주목하고 있는 것이다.

국민·신한·우리·하나·농협 등 5대은행의 1분기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359조6914억원. 작년 연말362조7093억원에서 3조179억원이 빠져나갔다. 작년 1분기에 331조5313억원에서 335조6524억원으로 4조원 이상 증가한 것과 대조되는 분위기다.

주택대출의 감소는 집단 대출이 주도한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이 신규 승인액(약정)을 집계한 결과 집단대출 증가세는 지난해 4분기부터 확연하게 꺾였다.

2015년부터 지난해 상반기까지 월평균 최고 5~6조에 육박했던 승인 규모는 올 들어 2조5000억원에서 3조원으로 거의 절반 수준으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줄면서 대출 증가세가 크게 둔화되는 양상이다. 실제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1분기 서울 아파트의 매매 거래는 총 1만5176건으로 지난해 1분기 1만7384건을 밑돌고 있다.

본격적인 이사철이 시작되는 3월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7099건으로 작년 3월(1만2975건)보다 5876건(45.3%)이나 급감했다.

분양 시장은 더 심각하다. 1분기 전국 분양한 아파트는 72개 단지, 3만1730가구로 작년 1분기103곳 4만808가구에 비해 22.2% 줄어들었다. 2015년 이후 2년 연속 감소세다.

금리 인상과 부동산 시장 위축 가능성으로 집값 전망이 불투명해져 전세거래는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경우 1분기 전월세 거래량은 지난달 28일 기준 5만1054건으로 작년 거래량4만6182건을 웃돌았다.

금융당국은 일단 가계부채 대책이 어느정도 효과를 보고 있다는 보고 있다. 금감원 측은 "은행권의 가계대출은 부동산 시장의 분양물량 및 주택거래량과 밀접하다"면서 "최근 5년 평균 수준으로 공급량이 안정화하면 2018년에는 가계부채가 연착륙 단계에 진입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금융당국은 올해 은행권 가계부채 증가율을 지난해의 절반 수준인 6%대에서 관리하고 2018년에는 경상 성장률 수준으로 낮춰 서서히 연착륙시킨다는 전략이다. 경상 성장률은 실질 성장률과 물가 상승률을 더한 수치로 기획재정부가 밝힌 올해 경상성장률은 4.2%다.

저작권자 © 위클리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