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7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개최, 文 "5·18정신 헌법전문에 담겠다"

▲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오전 제37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열린 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고 있다.

[위클리오늘=이하나 기자]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이 9년 만에 제창됐다.

18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거행된 제37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1만여 명의 참석자들은 자리에서 일어나 손에 쥔 태극기를 흔들며 공식 식순에 포함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했다. 이날 기념식에는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심상정 정의당 대표 등 여야 지도부가 대거 참석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후 첫 정부 공식행사로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해 "'오늘 '임을 위한 행진곡'의 제창은 그동안 상처받은 광주정신을 다시 살리는 일이 될 것이다. 오늘의 제창으로 불필요한 논란이 끝나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새 정부는 광주민주화운동의 연장선 위에 서 있고, 1987년 6월항쟁과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의 맥을 잇고 있다"며 "5·18 정신을 헌법전문에 담겠다는 저의 공약도 지키겠다. 광주정신을 헌법으로 계승하는 진정한 민주공화국 시대를 열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5·18 당시 헬기사격과 발포 진상 규명에도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5·18민주화운동이 정부기념일로 제정된 1997년부터 이명박 정부 첫 해인 2008년까지 공식 기념식에서 참석자 전원이 함께 부르는 제창 방식으로 불렸다. 2004년 제24주년 5·18기념식에 참석한 노무현 전 대통령은 악보를 보지 않고 '임을 위한 행진곡'을 처음부터 끝까지 제창해 화제가 됐다.

2008년 기념식에서는 행사 마지막 모든 참석자들이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했는데 이명박 전 대통령이 2~3소절을 따라 부르는 모습이 보수단체의 반발을 샀고, 이명박 정부는 결국 이듬해부터 '임을 위한 행진곡'을 본행사에서 제외하고 식전행사 중 하나로 합창 형식으로 불렸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는 본 행사에 포함되긴 했지만 제창이 아닌, 합창단이 합창하고 원하는 사람만 따라 부를 수 있었다. '임을 위한 행진곡' 대신 '방아타령'을 등장시켜 공분을 샀다.

2013년과 2014년 2년 동안은 보훈처의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거부로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5·18유족이 불참했다. 2015년 기념식에서는 국가보훈처와 유가족이 국립5·18민주묘지와 옛 전남도청 앞 광장에서 별도의 기념식을 치르기도 하는 등 ‘임을 위한 행진곡’의 합창과 제창 등 불리는 형식을 두고 갈등이 이어져 왔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이틀만인 지난 12일 5·18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할 것을 지시했다. 청와대 측은 “정부 기념일로 지정된 5·18 광주 민주화운동과 그 정신이 더 이상 훼손돼서는 안 된다는 대통령의 강한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1982년 4월 5·18 2주기를 앞두고 만들어졌다. 5·18 민주화운동 때 전남도청을 지키다 사망한 시민군 윤상원씨와 노동운동가 박기순씨의 영혼 결혼식에 헌정한 노래다. 김종률 현 광주문화재단 사무처장이 작곡했고, 황석영 작가가 가사를 썼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이후 5·18 민주화운동을 상징하는 곡이 됐고, 당시 독재정권에 항거하던 대학생들이 시위 때마다 부르는 민중가요로 자리를 잡았다.

보수 단체는 ‘임을 위한 행진곡’ 가사의 ‘임’이 북한 김일성·김정일 부자이며, ‘새 날’은 적화통일을 의미한다며 문제삼았다. 이들은 이 곡을 작사한 황석영 작가의 방북 이력도 문제 삼고 있지만 이는 지나친 확대해석이란 반론이 거셌다.

이 노래를 작곡한 김종률씨에 따르면 당시 황석영 작가는 백기완 시인의 ‘묏비나리’에서 영감을 얻어 가사를 썼다. 묏비나리 구절 중 일부인 “벗이여, 새 날이 올 때까지 흔들리지 말라…산 자여 따르라 산 자여 따르라”에서 가사를 따온 것이다.

또 황석영 작가가 방북한 때는 이 가사를 쓴 지 7년이 지난 1989년이었다. 민주주의를 열망하는 노래인데, 반대 측이 왜곡된 해석을 담았고 과거 정부에서 그 논리를 일부 수용했던 것이라고 찬성 측은 말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광주를 방문해 ‘임을 위한 행진곡’을 5·18 민주화운동 기념곡으로 지정하겠다고 약속했다. 기념곡 지정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아직 많다.

정우택 자유한국당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18일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했지만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지는 않았다. 정 원내대표는 "문재인 대통령께서 제창에 대해 정치권에 협조를 구한 적이 한번도 없다"며 "오늘은 국민적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사항이라고 생각해 부르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편, ‘임을 위한 행진곡’은 ‘촛불 민주주의'의 성지인 서울 광화문광장에서도 울려 퍼졌다.

'5·18 민주화운동 서울기념사업회'는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제37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열린 시각인 오전 10시 광화문광장에서 서울행사를 가졌다. 시민 300여명은 민주주의국민행동상임대표 함세웅 신부와 월정사부주지 원행스님의 추모사를 경청하며 5·18 영령의 숭고한 희생 정신을 기렸다.

광주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선 지난 대선에서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를 지지했던 가수 전인권이 무대에 올라 상록수를 부르며 국민통합의 상징적인 메시지로 해석되기도 했다. 

다음은 '임을 위한 행진곡' 가사.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 한평생 나가자던 뜨거운 맹세/동지는 간데없고 깃발만 나부껴
새날이 올때까지 흔들리지 말자/세월은 흘러가도 산천은 안다 깨어나서 외치는 뜨거운 함성/앞서서 나가니 산자여 따르라 앞서서 나가니 산자여 따르라

관련기사

저작권자 © 위클리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