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석탄 가스화로 상당기간 체제 유지 가능할 것"

▲ 중국 정부의 북한산 석탄 수입금지 발표전인 2017년 1월 중국 허베이성 당산항에 마지막으로 수입된 북한산 석탄이 눈에 덮여 야적돼 있다. <사진=뉴시스 제공>

[위클리오늘=조원호 기자] 국제사회의 제재로 석유를 충분히 수입하지 못하는 북한이 석유를 대신해 매장량이 풍부한 석탄을 이용한 합성가스 생산을 확대하고 있다고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은 외교 당국자와 전문가들을 인용해 북한의 석탄 가스화는 유엔 제재를 받는 경제를 지탱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몇년사이 북한은 비료공장, 제철, 시멘트공장 등 에너지와 원자재를 석유에 의존하던 공장들에서 석탄 가스 사용을 늘리고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절감된 석유를 북한 군부로 돌려 군대는 연료가 부족하지 않다고 WSJ은 지적했다.

서울대학교에서 북한 경제를 연구하는 피터 워드는 2016년부터 새롭게 강화되고 있는 석탄을 이용한 화학제품 생산 정책이 "영속화되는 제재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북한의 석유, 비료 및 유기화학제품 수입은 유엔의 제재가 강화되기 전부터 감소해왔다.

WSJ에 따르면, 북한의 동맹국인 중국의 기업들이 북한에 석탄 가스화에 필요한 기술과 전문가들을 제공하고 있다. 한 회사는 지난 7월 시간당 4만㎥의 합성 가스를 생산할 수 있는 대규모 석탄 가스화 설비를 평양 북쪽 산업지역에 공급하고 있다.

이같은 생산량은 북한이 최근 몇년사이 수입한 원유 및 정제 석유제품 연간 수요의 10%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노틸러스 연구소의 북한 에너지부문 전문가 데이비드 폰 히펠은 밝혔다.

18세기 후반에 개발된 석탄 가스화 기술은 경제적으로 고립된 석유부족 국가들이 생존하는 데 활용돼 왔다. 나치 치하 독일은 2차 세계대전 중 석탄 가스화로 생산한 에너지로 탱크와 비행기를 운영했다. 인종차별로 석유 수입이 제한됐던 남아프리카공화국도 1980년대 유사한 기술을 활용했다.

전문가들은 이에 따라 석탄의 가스화 기술로 북한도 상당기간 체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북한의 석탄 매장량은 147억톤으로 생산량 상당 부분이 수출됐지만 지난해 제재로 수출이 금지됨에 따라 생산량이 남아 돌고 있다.

저작권자 © 위클리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