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 휴식을 취하고 있는 은퇴노인들. <사진=뉴시스 제공>

[위클리오늘=이혜은 기자] 은퇴 가구 10가구 중 6가구가 생활비 충당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은퇴를 예상하는 연령보다 실제 은퇴는 5년 빨리 찾아왔다.

통계청과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20일 공동 발표한 '2018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말 기준 가구주가 은퇴하지 않은 가구는 80.0%로 1년전보다 0.4%포인트 늘었다.

가구주의 예상 은퇴연령은 67.5세였다.

가구주와 배우자의 월평균 최소 생활비는 197만원, 적정생활비는 283만원으로 조사됐다.

절반이상의 가구가 노후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가구주와 배우자의 노후 준비상황이 '전혀 안된 가구'는 18.1%, '잘 돼 있지 않은 가구'는 35.7%였다. '잘 된 가구'는 9.8%에 불과했다.

가구주가 은퇴한 가구의 실제 은퇴연령은 62.5세였다. 은퇴 희망연령보다 5년 빠른 셈이다.

은퇴 가구의 59.5%가 생활비 부족을 호소했다.

생활비 충당 정도가 '부족한 가구'는 38.3%, '매우 부족한 가구'는 21.2%였다. 생활비가 '여유 있다'는 은퇴 가구는 10.7%에 그쳤지만 1년전보다는 2.7%포인트 늘었다.

가구주와 배우자 생활비 마련 방법으로는 '공적 수혜금'(31.4%)이 가장 많았다. '공적연금'도 30.3%나 됐다. '가족수입 및 자녀 등의 용돈'은 24.7%, '저축액·사적연금'은 4.1%였다.

가구들은 여전히 안정적으로 자산 운용하기를 선호했다.

여유자금 운영 방법으로 '저축과 금융자산 투자'(45.8%)를 가장 많이 꼽았다. 금융자산 투자시 선호하는 운용방법은 '예금'(91.9%)이 압도적이었다. '주식'은 4.7%, '개인연금'은 1.8%에 그쳤다.

금융자산 투자의 주된 목적은 '노후대책'(57.2%)을 꼽았다. 뒤이어 '주택구입 및 전·월세 보증금 마련'(15.5%), '부채 상환'(9.6%), '자녀교육비 마련'(5.7%) 순이었다.

금융자산 투자시 우선 고려사항으로는 '안전성'(74.5%)을 1순위로 지목했다. '수익성' 13.8%, '접근성(이용의 편리성)' 6.1%, '현금화 가능성' 5.4%였다.

소득이 증가하거나 여유자금이 생길 때 부동산에 투자할 의사가 있는 가구주는 53.5%에 달했다. 그러나 1년전보다는 2.5%포인트 줄었다.

1년후 거주지역 주택가격 전망에 대해서는 가구주의 44.7%가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 22.9%는 상승을, 12.6%는 하락을 각각 전망했다.

저작권자 © 위클리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