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RS17 영향, 저축성→보장성 상품 포트폴리오 변화

보장리스크 재보험 전가 위한 방편

[위클리오늘=전근홍 기자] 국내 생명보험사들의 재보험 비용 지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롭게 도입되는 회계기준(IFRS17)의 영향으로 저축성 보험을 줄이고 장기 보장성 중심으로 상품 포트폴리오를 재편하면서 위험부담을 줄이기 위해 가입을 늘린 탓이다.

재보험은 보험사가 인수한 보험계약에 대해 보상책임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다른 보험사나 전업 재보험사에 별도의 보험 계약을 통해 리스크를 전가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통상 ‘보험사를 위한 보험’이라고 칭한다.

보험업계 안팎에선 IFRS17의 도입으로 돌려줘야 할 보험금을 시가로 평가하는 상황에서 자본확충과 관련된 위험을 재보험에 전가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재보험 비용의 증가는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 과거 고금리를 약속하고 저축성 보험을 많이 팔았던 생보사들 입장에선 자본확충 부담이 크다.

하지만 지난 2002년 7월 ‘금융감독업무 시행규칙’을 통해 저축성보험도 재보험으로 리스크를 이전할 수 있도록 해 가입 요건이 충족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29일 생명보험협회 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누적기준 국내 생명보험사들의 재보험 비용은 1조5463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4191억원) 대비 9.0%(1272억원)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회사별로 보면 빅3 생보사인 삼성생명이 단연 압도적이다.

지난해 10월 기준 2849억원의 재보험 비용을 지출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2526억원)과 비교하면 12.8%(323억원) 늘었다. 이어 한화생명이 1283억원, 교보생명이 9774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이외에 미래에셋생명(1102억원), 오렌지라이프(1113억원), KDB생명(943억원), NH농협생명(938억원) 등이 같은 기간 900억원 이상 지출한 생보사에 이름을 올렸다.

이러한 현상에는 포화된 시장상황 속에서 보장성 보험으로 영업방식을 재편하다보니 위험분산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선택이라는 것이 업계의 주된 분석이다.

하지만 과당경쟁으로 자체 위험률 측정이 어려운 특약을 추가하는 방식이 만연해지면 재보험사 의존도가 심해진다.

이로 인해 자체 인수능력이 저평가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는 상황이다.

인수부담이 큰 보험상품의 경우 재보험사가 보유한 경험통계를 기반으로 한 ‘협의요율’을 기초로 보험료가 결정되는데, 자체 통계 부족으로 거대 위험에 대해 직접 보험료를 산출할 능력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뒤따른다는 것이다.

특히 중·소형 생보사들 경우 전담인력 부족 등으로 자체 상품개발보다는 재보험사와 공동으로 상품 개발에 나설 수밖에 없기에 재보험 의존도는 더욱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대형생보사 한 관계자는 “보험사 부채를 시가로 평가하는 IFRS17로 저금리 상태에서도 고금리로 판매된 상품은 가입자에게 돌려줘야 할 이자가 많은데 이 때문에 보장성 판매에 열을 올리고 있다”면서 “이러한 상황에 리스크 전가 차원에서 재보험 비용 증가는 당연한 수순”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중·소형사의 경우 재보험사와의 협력을 피할 수 없는 상황에서 국내 유일의 코리안리 재보험의 독점구조 역시 해결돼야 할 사안”이라며 “독점구조 속에서 재보험료 구조가 높을 수밖에 없다는 점에 대한 금융당국의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위클리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