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대구시 북구 칠성종합시장에서 시민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사진=뉴시스 제공>

[위클리오늘=김인환 기자] 취임후 두번째로 '보수의 아성' 대구를 찾은 문재인 대통령은 22일 오전부터 오후까지 경제 일정으로 빼곡이 채우며 민심잡기에 나섰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오전 10시20분부터 오후 2시40분까지 4시간여동안 4개의 경제일정을 소화했다. 특히 이번 일정은 대구경제 활성화를 위한 맞춤형 경제정책들이 대거 포함돼 눈길을 끌었다.

이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추진중인 '지역경제투어' 행보중 하나로 ▲전북 군산(지난해 10월30일) ▲경북 포항(11월8일) ▲경남 창원(12월13일) ▲울산(12월17일) ▲대전(1월24일) ▲부산(2월13일)에 이어 일곱번째 지역 방문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대구 방문은 취임후 두번째다. 지난해 2월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2·28 대구 민주운동 기념식' 참석차 대구를 처음 찾은 뒤 1년여만이다.

특히 이번 행선지가 보수의 텃밭이라는 점에서 눈길을 끌었다. 대구는 전통적으로 보수세가 강한 지역이다. 이번 행사에 자유한국당에서는 김규환 의원만 유일하게 참석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오전부터 대구지역 맞춤형 정책 등을 제시하고 시민들과의 접촉면을 넓히며 보수 민심을 공략했다.

오전에는 박근혜 전 대통령 지역구였던 달성군을 찾아 대구시가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로봇산업 정책에 힘을 실어줬다.

문재인 대통령은 '로봇산업 육성 전략 보고회'에서 "아디다스 신발공장이 다시 자국으로 돌아온 것처럼 대구도 로봇산업을 통해 제조업의 중심지로 부활할 것"이라고 말했다.

섬유산업을 주력으로 경제를 견인해 온 대구에 로봇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시켜 전통 제조업을 되살리는 동력으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이다.

낮에는 대구지역 경제인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그들의 애로사항을 가감없이 청취했다. 간담회에는 로봇기업인, 기업회장, 청년 창업인 등 다양한 경제 주체들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대구지역 경제를 살리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문재인 대통령은 "다른 지역도 그렇지만 대구경제가 특히 어렵다"며 "대구가 균형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중앙과 지자체가 힘을 합쳐 해내겠다”고 말했다고 고민정 부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또, 대구지역을 대표하는 칠성시장을 방문해 민심 청취에도 나섰다. 칠성시장은 각종 선거유세때 자유한국당 핵심 유세지역으로 꼽히는 곳 중 하나다. 정부는 칠성시장을 상권 르네상스 프로젝트 1호로 선정해 복합상권 조성을 통해 랜드마크 상권으로 육성·지원할 계획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시장 입구에서부터 일일히 시민들과 악수하고 사진을 찍으면서 도보로 1분 걸리는 거리를 걸어오는 데만 9분가량을 소요했다.

또 지역 상품권인 온누리 상품권을 이용해 10만원어치의 과일, 봄나물 등을 구매했다. 상인의 '나물이 좋다'는 이야기에 지갑을 열며 봄나물을 추가 구매하기도 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이같이 대구 민심잡기에 심혈을 기울인 것은 비단 지역경제 행보를 넘어서 대구지역 중도층 민심과도 무관치 않아 보인다.

정부의 비핵화 정책에 대한 불신과 경제에 대한 불안감으로 보수층이 결집하는 와중에 대구지역내 중도층 지지율이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는 추세다.

여론조사 업체 리얼미터가 tbs의뢰로 지난 18~20일 사흘동안 전국 19세이상 유권자 1509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지난 21일 공개한 3월3주차 주중집계(95% 신뢰수준·표본오차 ±2.5%포인트·응답률 7.3%)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은 대구·경북에서 큰 폭으로 올랐다. 전주 대비 7.8%포인트 오른 38.2%를 기록했다.

최근 권력기관 특권층 비리 의혹 등으로 정부·여당과 보수야당간 개혁을 둘러싼 대립선이 뚜렷해지는 양상이 대구·경북에서도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오후 대구가 주최하는 가장 큰 국제회의인 '세계 물의 날 기념식'에 참석하는 것으로 일정을 마무리했다. 취임후 처음으로 참석한 기념식에서는 대구 낙동강 물 관리 등을 언급하며 통합 물 관리 정책 실현 의지를 피력했다.

여론조사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리얼미터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위클리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