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 8일 열린 '중금리 대출 발전방안 간담회'에서 최종구 금융위원장(가운데)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위클리오늘=신민호 기자] 금융당국이 전 업권에 동일하게 적용했던 중금리대출 금리 기준을 업권 별로 차등화해 인하했다.

주요 중금리 상품 금리가 일제히 하향 조정됐으며 기준이 차등화된 만큼 업권별로 각기 다른 반응이 나오고 있다.

3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2금융권을 중심으로 중금리대출 상품의 금리가 하향 조정됐다.

이는 지난달 26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저축은행업·여전업·상호금융업감독규정 개정에 따른 것으로 지난 1일부터 적용된 상황이다.

기존 금융당국은 평균 금리 16.5% 이하, 최고금리 20% 미만 같은 일정 기준을 충족한 대출에 한해 중금리대출로 규정하고 대출규제 산정에서 제외하는 등의 인센티브를 적용했다.

다만 업권 별로 상이한 비용과 상품 등의 조건에도 동일한 금리요건을 전 업권에 적용하면서 불평등하다는 지적이 제기됐고, 이에 중금리대출의 금리요건을 각 업권에 맞게 차등적 하향 조정한 상황이다.

◆비껴간 저축은행, ‘박리다매’ 전략

기존 중금리대출 기준이 저축은행이었던 만큼 업권은 이번 개정에서 비껴난 모양새다.

실제로 이번 개정안에서 평균금리는 16%에 최고금리는 19.5%로 하향됐는데 이는 기존 중금리대출 금리에서 약 0.5%포인트 하향된 것에 불과하다.

또한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과 대출 상한제 등의 규제로 대출영업이 제한되는 상황이지만 중금리대출은 산정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올해 하반기 저축은행들은 영업전략으로 중금리대출 확대를 꼽고 있다.

특히 SBI저축은행의 경우 이전부터 비대면 전용 중금리 상품인 ‘사이다’를 통해 중금리대출에 주력했으며 최근 모바일 플랫폼 ‘사이다 뱅크’를 출시했다.

또한 OK저축은행과 웰컴저축은행 등 대형 저축은행들 역시 앞다퉈 비대면 플랫폼과 전용상품을 출시하는 등 업권 내 비대면 채널 확대가 부각되고 있다.

이에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올해 규제로 인해 영업방향이 중기대출과 중금리 가계대출로 맞춰진 상황”이라며 “특히 중금리대출의 낮은 수익성을 비대면 채널을 통한 영업범위 확장으로 충당한다는 ‘박리다매’ 전략에 가깝다”고 설명했다.

◆캐피탈·상호금융, 낮아진 수익성에도 중금리에 집중

이번 개정으로 캐피탈사는 평균금리 14%에 최고 금리 17.5%로, 상호금융은 평균금리 8.5%에 최고 금리 12%로 중금리대출 기준이 각각 2.5%포인트, 8%포인트 하향됐다.

따라서 수익성 악화가 우려되지만 최근 적용된 DSR규제로 인해 중금리 대출에 주력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에 평균 DSR비율을 신규대출에 한해 캐피탈사는 기존 105.7%에서 90%로, 상호금융은 기존 261.7%에서 160%로 2021년까지 맞춰야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대출심사를 보다 엄격히 하게 되면 지난해 1금융권처럼 대출규모가 축소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중금리대출은 DSR비율에 산정되지 않는 만큼 이를 주력으로 하반기 영업전략을 구성할 방침이다.

◆‘직격탄’ 맞은 카드사, 수익성 낮아 어려움 호소

금융권에서는 카드사가 이번 개정안의 주요 ‘타겟’이었다는 평하고 있을 만큼 개정으로 큰 변화를 맞고 있다.

이번 개정안으로 카드사의 중금리대출 요건은 평균금리 11%에 최고금리 14.5%로 기존 금리에 비해 5.5%포인트 하향 조정됐다.

이에 4대금융지주 계열 카드사 위주로 중금리대출 상품을 출시하거나 기존 상품을 조정했으며 이는 신규대출부터 적용되고 있다.

신한카드는 일반 중금리대출과 '스피드론 중금리' 금리를 4.75%~14.4%, 6.16%~14.4%로 하향 조정했으며 KB국민카드는 '생활든든론2'의 금리를 6.8%~14.45%로 조정했다.

또한 우리카드는 카드론 ‘우리중금리 장기카드대출’ 금리를 7.1%~14.4%로 하향조정했으며 비금융지주 계열사인 롯데카드도 '중금리론'의 리를 4.95%~14.4%로 조정했다.

이밖에 기존 중금리대출 상품 일부의 금리를 하향조정할 예정이며 삼성·현대·하나카드는 중금리대출 상품을 취급하지 않고 있다.

문제는 중금리대출을 포함한 카드사의 일반가계신용 충당금 기준도 상향됐다는 점이다.

금융위는 지난 2015년 말 기준 938억 원이었던 카드사 신용대출이 지난해 말 5037억 원으로 5배 이상 증가했음에도 충당금 기준이 낮아 차익을 남기고 있었다며 가계대출에 대한 충당금 기준을 기존 카드론이나 현금서비스와 같은 수준으로 상향했다.

이에 기존 대출에 대한 충당금을 이번 분기에 적립해야할 상황이며 특히 지난해 수수료 수익 악화로 대출부문이 크게 증가한 상황이라 카드사 입장에선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중금리대출 기준 하향은 취급규모가 적어 큰 타격이라 보기 어렵지만 충당금 기준 증가는 다소 뼈아프다”라며 “수수료 수익이 악화되며 지난해 대출 규모를 늘렸는데 이번 개정으로 충당금이 늘어나 실적악화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또한 “중금리대출이 대출규제에서 제외되는 데다 수수료 수익도 줄어들어 취급을 늘릴 예정은 맞다”며 “다만 수익성이 낮은데도 리스크가 큰 만큼 접근이 조심스러운 상황이다”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위클리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