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D, 부품 확보에 영향 없는 중국 광저우서 OLED 패널 생산"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 강화로 관련 대책 마련이 필요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그래픽=바이두(百度)>

[위클리오늘=손익준 기자] 일본의 대(對)한국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가 강화된 가운데 한국이 중국을 대체 공급지로 선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중국경제망(中国经济网)> 등 다수의 중국 매체는 한국 정부가 일본의 수출 규제 강화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고 8일 보도했다.

최근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일본 측에 항의했고 홍남기 기재부 장관도 일본의 조치를 ‘경제보복’으로 규정하며 이에 상응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산업통상부는 일본의 제재에 대응하기 위해 반도체 설비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매체는 “일본의 수출 규제로 한국이 핵심기술‧부품 및 원재료 개발을 시작했다”며 “하지만 개발에 많은 시간이 걸리므로 우선은 일본을 대체할 부품 공급지를 먼저 찾을 것이다”고 평가했다.

이어 “중국은 가격 조건 등 장점이 많은 곳”이라며 “한국의 OLED 패널이 중국에서 성공했듯 한국은 중국으로 눈을 돌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업계에 따르면 LGD는 광저우(广州)의 8.5세대 OLED 패널 생산라인을 올해 정식 가동한다. 지난해 7월 460억 위안을 들여 착공한 중국에서의 첫 대형 OLED 생산라인이다.

특히 LGD의 이 생산라인은 ‘웨강아오(粤港澳) 다완취(大湾区:Greater Bay Area)’ 지역 내 위치해 글로벌 진출에 유리할 것이라는 평가도 받고 있다.

‘웨강아오 다완취’는 중국 정부가 광둥성(粤) 9개 도시와 홍콩(港)‧마카오(澳)를 단일 경제권으로 묶어 중국판 실리콘밸리로 육성하는 프로젝트다.

이를 두고 한 중국 분야 전문가는 “미‧중 무역분쟁에 휘말리지 않으려고 중국에서 철수하는 기업도 있다”며 “이번엔 일본 때문에 중국으로 눈을 돌려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LGD처럼 부품공급에 영향이 없다면 일본의 대체지로 중국을 고려할 수 있다”면서도 “중국의 자국 기업 차별 정책 여부 등도 다각도로 판단해야 한다”며 섣부른 판단은 경계했다.

한편, 한국 자동차‧배터리 업계는 중국 진출 후 중국 당국이 중국산 배터리에만 보조금을 지급해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저작권자 © 위클리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