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8일 한국은행 기자실에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통화정책방향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위클리오늘=신민호 기자] 국내 기준금리 인하에 맞춰 시중은행들이 예·적금 금리를 인하시켰다. 이로 인해 평균금리가 1%대로 내려갔다.

반면 저축은행은 2% 중후반대 금리를 유지한다는 방침을 내세우면서 금융권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의 저축은행으로 예·적금 쏠림 현상이 심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18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국내 기준금리를 1.75%에서 1.5%로 0.25%포인트 인하하기로 발표했다.

이는 당초 8~9월 경으로 예상한 것보다 이른 시기다. 금융권에서는 장기화된 경기침체로 경기성장률이 한은의 예상을 밑돌았기 때문이라 분석하고 있다.

또한 최근 일본 수출규제로 반도체·디스플레이 사업에 제동이 걸린 데다 한일 간 갈등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금리인하 시기를 앞당긴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가장 발빠른 대처를 보인 곳은 시중은행이다. 시중은행은 발표 다음날인 지난 19일부터 일제히 예·적금 금리를 인하하기 시작했다.

KB국민·우리·NH농협은행은 19일, KEB하나은행은 22일 각각 금리를 인하했으며 신한은행은 향후 논의를 거쳐 인하할 방침이다.

현재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국내 시중은행의 1년 기준 41개 예금 상품 평균금리는 1.78% 이며 이중 5대 시중은행의 평균 금리는 1.67%다.

또한 국내 시중은행의 1년 기준 42개 적금 상품 평균금리는 1.9% 이며 이중 5대 시중은행의 평균 금리는 1.89%로 나타났다.

이번 기준금리 인하를 바탕으로 은행들이 수신금리를 낮추게 되면 예·적금 금리는 대부분 1%대에 머물게 된다.

반면 저축은행 업권은 2% 중후반대 상대적 고금리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시중은행의 수신금리 인하 움직임과는 달리 현상유지 방침을 내세우고 있다.

22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1년 기준 정기예금 평균금리는 2.48%, 정기적금은 2.64%로 시중은행들과 크게는 1%포인트 이상 차이난다.

여기에 저축은행 다수가 수신금리인하에 대해 논의 중이거나 계획이 없다는 답변을 내놓으며 금융권에서는 당분간 저축은행의 고금리 기조와 시중은행과의 금리 격차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를 두고 저축은행 업권 관계자들은 금융당국의 예대율 규제로 인해 수신금리를 인하시키는 게 제한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4월 금융감독원은 저축은행의 고금리 대출과 대출확대를 방지하기 위해 예대율 규제를 도입했다.

해당 규제의 핵심은 고금리대출은 예대율 산정 시 가중치(130%)를 부여하고 정책성 금융상품(사잇돌대출·햇살론)은 규제 적용에서 배제시킨다는 것이다.

현재 저축은행의 평균 예대율은 99% 수준이지만 규제를 즉시 반영하면 급격히 악화될 것을 우려해 올해 유예기간을 부여했다. 내년 규제 적용 시 110% 이하로, 2021년까지 100% 이하로 관리하겠다는 방침이다.

때문에 유예기간인 올해에는 문제가 없지만 내년 적용될 규제를 고려해 선제적으로 수신을 늘릴 필요가 있다는 게 저축은행 관계자들의 답변이다.

이에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예대율 규제 문제도 있지만 수신비중이 높은 저축은행의 특성 상 수신금리를 인하하기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또한 “보통 특판상품 만기로 인한 고객 이탈 방지를 위해 상·하반기로 나눠 금리를 인상한다”며 “최근 수신금리가 인상된 시점이니 만큼 현재의 고금리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다른 금융관계자는 “대형사들은 저·중금리 정책성 상품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개편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금리인하 영향이 적은 편”이라며 “시중 은행과의 수신금리 차이가 커진 만큼 수신이 저축은행으로 몰리는 ‘쏠림현상’이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위클리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