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클리오늘=최희호 기자] 경기도가 야심차게 선보인 공공배달앱 '배달특급'이 드디어 그 모습을 드러냈다.

경기도는 배달앱 시장의 공정 경쟁을 유도하기 위해 지난 1일 화성, 오산, 파주 지역에서 시범서비스를 시작했다.

배달특급은 민간 배달앱의 높은 수수료와 지나친 광고비로 인한 소상공인의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이재명 경기지사가 의욕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배달앱 서비스다.

경기도주식회사가 기획과 홍보를 맡고 NHN 페이코 컨소시엄이 앱 개발을 담당하는 형식으로 민관 합동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모양새를 갖췄다.

하지만 배달특급은 앱 개발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사업이 가능한지 그 여부에 대한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중개수수료가 1%에 불과해 운영기간이 늘어날수록, 가맹점이 많아질수록 그 적자폭이 점점 늘어날 것이란 예상 때문이다.

당초 경기도는 배달특급 중개수수료 2%를 받을 것으로 전해졌으나 개발 초기 경기도가 호언했던 중개수수료 1%로 책정됐다.

낮은 중개수수료로 가맹점 부담은 줄일 수 있으나, 이 때문에 매년 80억~90억 원의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다. 사업지역이 늘어날수록 이 적자폭은 당연히 더 커진다.

문제는 배달특급 앱 수익과 소비자 혜택은 비례적 함수관계에 있다. 수익이 나지 않으면 소비자들에게 돌아가는 혜택 또한 줄어들게 된다는 것이다.

배달앱의 특성상 소비자가 많이 사용해야 그만큼 가맹점에게도 수익이 돌아간다. 하지만 배달특급 출시 초반 경기도의 홍보와 소비자의 호기심으로 일회성 사용은 가능할지 몰라도 지속적인 사용은 힘들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경기도에 전한다. 소비자에게 돌아오는 혜택이 적은 상황에서 단지 가맹점 수수료가 낮다고 소비자의 충성도를 높일 수는 없다.

현재로서는 소비자가 아닌 공급자 위주의 사업 정책으로 소상공인들에게만 특혜가 돌아간다는 비난도 피해갈 수 없다.

소비자만 배제된 공공사업에 따른 부담은 아이러니하게도 다시 소비자가 떠안게 된다.

세금으로 적자를 메꾸는 사업의 시작은 쉬우나 지속을 위한 혈세는 역으로 소비자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위클리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