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클리오늘=최희호 기자] 4.13총선이 끝난 지 일주일이 됐다. 국민의 탁월한 선택으로 여소야대(與小野大) 3당체제가 만들어졌으나, 총선민심을 뒤로 한 채 당권을 둘러싼 각 당의 내홍이 깊어지고 있다.

이에 각 당이 안고 있는 문제들로 인해 대선 직전까지 각 당내 이전투구 양상이 갈수록 심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받고 있다.

새누리당은 총선 참패 뒤 지도부 새판짜기에 공백이 길어지고 있는 가운데 비상대책위원장직 추인을 두고 골머리를 앓고 있다.

초·재선 의원들이 ‘연판장’을 돌리면서 원유철 대표 권한대행의 비대위원장직을 반대해 결국 원유철 권한대행은 문제가 된 비상대책위원장을 다음 달 초 선출될 차기 원내대표에게 맡기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당내에서는 비상대책위원장 추인 방식을 놓고 이견이 분분하다. 비상상황인 만큼 당이 환골탈퇴하는 차원에서 새 원내대표 선출대신 외부에서 ‘김황식 전 총리’같은 중량감(?)있는 인물에게 비상대책위원장을 맡겨 당 쇄신을 꾀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친박과 비박의 재격돌 상황은 총선 참패 뒤 2당으로 밀려난 후에도 변함이 없다. 근본적으로 당권 투쟁 때문이다. 이는 차기 대선구도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한 것으로 ‘왜 제2당으로 추락했는지’를 벌써부터 망각한 파벌싸움일 뿐이다.

설상가상으로 무소속으로 당선된 유승민 의원 등 5명 정도가 복당 신청을 했는데 계파별로 서로 입장이 상충되고 있다.

복당을 시키는 데에 있어 일괄·선별적·순차적 복당 등 의견이 엇갈린 가운데 공천관리위원장을 지낸 이한구 의원은 무소속 당선자의 복당에 대해 “유승민 의원 등의 복당은 또 다시 ‘이념 잡탕당’이 될 수밖에 없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마지막 최고위에서 ‘개혁적 보수에 동의한 사람들은 다 복당시키겠다’고 해 ‘복당’이라는 난제를 놓고 너무 성급한 결정이 아니었냐는 비판이 거세졌다.

최고위에서 복당 얘기가 흘러나온 것은 제2당으로 밀려난 여당이 국민의 준엄한 심판을 저버리고 ‘국회의장도 못하는 것 아니냐’는 위기의식 때문에 ‘머리수부터 먼저 채우고 보자’는 무리수를 둔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그리고, 만약 친여(親與)성향 무소속 당선자를 복당시키더라도 그 시기가 아주 성급했다는 지적도 있다. 당을 어떻게 쇄신하고 어떻게 추스를지 얘기가 끝난 후에 해도 했어야 했다는 것이다.

복당을 둘러싼 파장은 당의 혁신없이 무조건 복당부터 거론되니까 계파별 셈법이 부딪힌 것이다. 특히 국회의장 선출을 염두한 포석이라면 총선민심을 정면으로 부정한다는 여론의 뭇매에 자칫하면 새누리당의 ‘자충수’가 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제1당으로 등극한 더불어민주당도 상황은 새누리당과 별반 차이가 없어 보인다. 차기 당대표 추대와 관련해 수위를 넘은 막말이 당내에서 오가는 등 김종인 비대위 대표의 ‘셀프추대’를 둘러싼 날선 공방이 거세지고 있다.

더민주 '당대포' 정청래 의원은 지난 17일 트위터를 통해 “불의한 사심을 갖고 당을 말아먹으려는  세력을 응징하겠다. 사심공천 5인방을 조만간 공개하겠다”며 “‘셀프 수상’의 월계관을 쓰려는 자들은 자중자애하라”고 김종인 대표 등을 겨냥한 듯 말했다.

또 19일 정 의원은 김 대표를 겨냥해 대놓고 맹비난했다. 그는 “셀프 공천도 문제지만 셀프 합의 추대라는 게 민주 국가에서 가능한 일인가? 북한노동당 전당대회에서나 가능한 일”이라며 당대표 추대와 관련해 김 대표와 각을 세웠다.

그리고 더민주도 새누리와 마찬가지로 ‘이해찬 의원의 복당’과 관련해 의견이 갈리고 있는 가운데 당내 분위기가 어수선하다.

김종인 대표에게 사과를 요구하며 더민주에 복당신청을 할 것으로 알려진 친노좌장 이해찬 7선의원에 대해 친노 당선인들을 중심으로 이 의원의 복당 요구가 불 붙었다.

20일 박범계 의원은 “정권교체를 하라는 명령이거든요. 이해찬 전 총리도 당연히 힘을 보태는 차원에서 받아들여야 (한다)”며 원론적인 주장만 하고 있는 김 대표를 향해 대립각을 세웠다.

더민주의 당헌·당규에 따르면 탈당한 지 1년이 지나야 복당할 수 있다. 하지만 예외적 조항이 있어 중앙당 당원자격심사위의 심사를 거쳐 당무위가 의결을 하면 이 의원 복당의 길은 열려있다.

캐스팅보터 국민의당 상황도 그리 녹녹해 보이진 않는다. 당의 얼굴로 볼 수 있는 안철수 대표가 유력한 대권주자이기 때문에 당권까지 잡는 것이 맞느냐를 놓고 의견들이 엇갈리고 있다.

당헌당규는 대선 1년 전에는 당 대표와 대권주자의 겸직을 금하고 있다. 만약 안 대표가 당권을 가지더라도 대권에 도전하려면 늦어도 12월에 사임해야 해, 몇 개월짜리 대표를 해야 하는가를 놓고 당헌당규를 고쳐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이미 안대표는 직접 ‘대선의 결선투표제’를 언급한 만큼 대선 도전의지를 강력히 피력했다. 하지만 대선정국에 앞서 국민의당에 악재가 발생해 지지자들의 시선이 곱지만은 않다.

독단적으로 청문회 운운한 천정배 공동대표와의 ‘불안한 동거설’과 박준영 당선인의 ‘공천헌금’ 의혹이 불거지고 있어 새정치를 갈망하는 지지자들의 실망감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전국에서 고른 지지를 받은 국민의당은 총선민심을 오해하지 말아야 한다. 국민은 대권 정국보다는 국민 정서를 제대로 살핌과 동시에 집안 단속에 나설 때라고 말한다.

19대 국회의 무능력에 실망한 국민은 20대 국회를 3당체제로 만들었다. 이는 각 당이 협심해 상생·화합정치를 펼치라는 국민의 준엄한 명령이다.

각 당은 대선정국에 기초한 당권잡기 정치놀음에 더 이상 헛심빼지 말고, 진정 국민을 위한 대안 정당으로 거듭나 제가(齋家) 후 평천하(平天下)를 논할 때다.

저작권자 © 위클리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