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에너지·비철금속 등 원자재 전량 가까이 수입
주요 취약품목 중국 의존도 높아…반도체, 이차전지 등 산업 타격 우려
한은 “공급충격 대비해 수입처 다변화 및 국산화 등 노력해야”

▲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에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뉴시스
▲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에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뉴시스

[위클리오늘=김현태 기자] 우리나라 원자재 수입 공급망이 취약한 가운데 중국에 대한 수입 의존도가 다른 국가보다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조사국 국제무역팀은 30일 발표한 '우리 경제 수입 공급망 취약성 분석' 보고서에서 “우리나라는 천연자원 부족, 환경규제, 국내생산의 채산성 및 기술문제 등으로 생산과 투자에 필요한 원자재와 자본재를 상당 부분 수입으로 조달하고 있다”며 “그 비중도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수입 품목 5381개 중 2144개(39.8%) 품목의 수입 공급망이 취약한 것으로 분석됐다.

주요 원자재별 수입 의존도를 살펴보면 ▲원유(100%) ▲석탄(99.1%) ▲천연가스(99.7%) ▲철광(99.4%) ▲비철금속광(99.3%) 등 에너지·비철금속과 관련해 거의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에너지·비철금속의 경우 의존도가 높으면서도 전체 수입의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 경제는 국제 에너지가격 변동에 따라 크게 흔들릴 가능성이 높다.

특히 주요 취약품목의 중국에 대한 수입 의존도가 다른 국가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취약품목의 중국산 수입 비중(29.1%)은 글로벌 수준(20.5%)를 상회했으며, 구리·알루미늄·아연 등 주요 광물의 경우 중국으로부터 수입하는 비중이 평균 67%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중국 관련 리스크가 생길 시 반도체, 이차전지 등 우리 경제를 대표하는 산업은 한 국가에 따른 공급망 차질에도 큰 타격을 받을 우려가 존재한다.

보고서는 “중국 내 공급망이 악화될 경우 우리 경제의 공급망 안정성이 크게 훼손될 우려가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한은 조사국 국제무역팀은 특정국 수입 의존도 감소에 대한 필요성과 대처 방안 등을 제시했다.

민은지 한은 조사국 국제무역팀 과장은 “팬데믹 이후 우크라 사태, 중국 봉쇄조치 등 최근 들어 높아진 공급충격의 상시화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해 주요 원자재·자본재에 대해 수입처 다변화 및 국산화 등의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민 과장은 단기적인 방안으로 취약품목의 재고 비축, 실시간 모니터링 강화 등을 내놓았고, 중장기적인 방안으로 핵심기술의 국산화, 주요 원자재의 해외자원개발, 다자간 무역협정 적극 참여 등을 꼽았다.

저작권자 © 위클리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