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경연과 통합설이 고개를 들고 있는 전경련. <사진=뉴시스>

[위클리오늘=송원석 기자] 4대그룹을 포함한 공기업과 대기업의 줄 탈퇴로 해체 위기에 직면한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해체 대신에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과의 통합설이 고개를 들고 있다.

지난달 정기총회에서 허창수 회장의 연임을 이끌어내며 절체절명의 위기를 딛고 대개혁을 위한 혁신위원회를 출범시킨 전경련이 정체성 변화와 구조조정을 위해 한경연과의 합병이 현실적인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다.  

전경련과 한경연이 통합을 한다면 기존 재벌이익을 대변하는 사업자 단체에서 경제와 산업의 연구기관으로서의 성격을 강화할 수 있는 동시에 두 기관의 중복된 기능을 하나로 통합할 수  있어 자연스럽게 구조조정을 단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체성이 다른 두 기관이지만, 교집합이 상당부분에 달한다. 중복되는 기능과 조직이 적지않다. 연구부서는 물론 인사, 총무, 회계, 관리 등 지원부서 통합만으로도 대폭적인 인력감축과 조직축소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현재 전경련 사무국 직원은 130여명, 한경연은 30여명 정도다. 두 기관의 인력은 약 170명에 달한다. 이에 따라 두 기관의 통폐합으로 발생하는 단순 구조조정 효과만도 줄잡아 20~30%에 달할 것이라는게 재계의 분석이다.

한경연과의 통합이 아니더라도 전경련 내부에서는 이달말 나오는 혁신안에 맞춰 현재 사무국 인원의 10~30% 정도 인력 구조조정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한경연과의 통합은 구조조정 과정에서의 진통을 줄일 수 있는 일석이조 효과가 기대된다.

전경련 예산은 올해 대폭 줄어들 수 밖에 없다. 어차피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면 한경연과의 통합을 통해 연착륙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실제 지난달 17일 열린 전경련 이사회에서 올해 예산이 전년대비 40% 줄어들었다.

재계의 입장도 한경연과의 통합에 대해 긍정적이다. 회비의 상당부분을 커버해온 4대그룹이 탈퇴한 이상 기존 조직 유지는 불가능한만큼 조직 축소와 인원감축에 맞춰 한경연과의 통합을 통한 전경련의 정체성을 바꾸는 것은 여러가지로 의미가 크다.

전경련이 한경연과의 통합이 추진된다면 현재 10일 첫 회의를 앞둔 혁신위에서 기관명칭 변경이 주요 어젠다로 떠오를 가능성이 높다. 한경연과 통합 그 기능과 성격이 바뀐다면, 기관명칭이 통합기관에 맞게 변경하는게 마땅하기 때문이다.

전경련 측은 이에 대해 "혁신위가 제로베이스에서 모든 사항을 검토하기로 한만큼 전경련 이름을 바꾸는 안도 나올 수 있다"며 "통과될지 안될지는 별개의 문제고, 논의 자체는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전경련 혁신위는 이달말까지 쇄신안을 마련하기 위해 속도를 내고 있다. 혁신안은 민간 회계법인에 의뢰한 용역 결과를 포함해 다양한 방안을 고려, 구체적인 혁신방안은 제로 베이스에서 논의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위클리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