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중국, 조기 리오프닝에 경제 정상화 기대 커져”
리오프닝에 따른 ‘보복 소비’ 등 인플레이션 우려 이끌어
한국, 미‧중 무역의존도 높아…분절화에 따른 피해 우려 증가

▲ 중국인 및 관광객들이 베이징 시내에서 쇼핑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 중국인 및 관광객들이 베이징 시내에서 쇼핑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위클리오늘=김현태 기자] 제로 코로나 정책 종료에 따른 중국의 리오프닝(경제 활동 재개)이 물가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김웅 한국은행 조사국장은 1일 대한상공회의소와 공동으로 개최한 공동세미나에서 "중국은 최근 조기 리오프닝으로 경제 정상화에 대한 기대가 증대됐다“며 ”향후 중국 리오프닝이 본격화될 경우 글로벌 경기의 진작효과가 크겠으나, 주요국 인플레이션과 관련해서는 불확실성이 큰상황“이라고 밝혔다.

중국 리오프닝에 따른 글로벌 경기 진작 및 공급차질 완화에도 물가상승 우려가 커진 이유는 ▲상대적으로 낮은 공급차질 완화 효과 ▲펜트업(억눌렸던 소비가 폭발하는 현상) 수요 확대 등으로 풀이된다.

세미나 발표에 따르면 중국의 공급차질 완화는 글로벌 물가의 하방압력으로 작용하지만, 금번 재확산에 따른 차질 정도가 과거 확산기에 비해 작았던 만큼 추가적인 완화 효과는 크지 않을 전망이다.

특히 ‘보복 소비’로 불리는 펜트업 수요 확대 현상이 물가상승 우려를 이끌었다.

김 국장은 “중국 펜트업 수요의 빠른 확대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방 요인이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미·중 갈등, 지정학적 긴장 등에 따른 분절화(여럿으로 분열되는 현상)로 인해 공급망 다변화에 대한 필요성도 제기됐다.

국제통화기금(IMF) 분석 결과에 따르면 중장기적으로 분절화 정도에 따라 글로벌 GDP가 0.2~7%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분절화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확대가 글로벌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핵심품목 수출이 주로 미‧중에 편중돼 있고, 주요 원자재 수입의존도도 높기 때문에 무역의존도가 높은 교역국이 분절화로 인해 일방적인 공급 제한을 감행한다면 상대적으로 피해를 크게 입을 가능성이 높다.

김 국장은 “거시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 이전과 달리 공급능력 제약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확대되면서 물가와 경기 간 상충 관계가 확대될 수 있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며 “공급망 다변화 등을 통해 공급망의 복원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 분절화는 경제뿐만 아니라 외교·안보적 요인이 맞물려 있는 만큼 민·관이 협력해서 공동 대응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신기술·기후변화 대응 등 글로벌 논의에도 적극 참여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위클리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