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물가, 전년 대비 3.3% 상승…4개월 만에 하락 전환
국제유가 하락 등 물가상승률 둔화 이끌어
농산물 가격 급등, 공공요금 인상 등 ‘물가 불확실성’ 높아

▲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준비된 장바구니 모습. 사진=뉴시스
▲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준비된 장바구니 모습. 사진=뉴시스

[위클리오늘=김현태 기자] 우리나라 물가가 최근 둔화세로 돌아섰지만, 향후 불확실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발표한 '1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보다 3.3% 올랐다.

전년 대비 물가상승률은 8월(3.4%)·9월(3.7%)·10월(3.8%) 3개월 연속 오름세 이어간 이후 하락 전환에 성공했으며, 2%대 상승률 재진입 기대감도 커졌다.

국제유가가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이번 물가상승률 둔화를 이끌었다.

품목별로 석유류 가격은 경유(-13.1%), 등유(-10.4%) 등이 급락하면서 전년 대비 5.1% 내렸다.

아울러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도 전년 대비 3.3% 상승하는 등 8월(3.9%)·9월(3.8%)·10월(3.6%)에 이어 둔화세를 이어갔다.

다만 농산물 가격 급등하고, 공공요금도 인상하는 등 우리나라 물가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농산물 가격은 전년보다 13.6% 오르며 지난 2021년 5월(14.9%) 이후 30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사과(55.5%), 귤(16.7%), 포도(16.4%) 등 과실류를 비롯해 토마토(31.6%), 파(39.3%) 등 채소류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과실 가격은 1년 단위로는 크게 떨어지긴 해도 단기간 내 하락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며 “전월보다 9.1% 큰 폭으로 하락하기는 했는데, 전년 대비로는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달부터 산업용 전기요금이 ㎾h당 10.6원 오르고, 내년 서울시 지하철 요금이 150원 인상될 것으로 전망되는 등 공공요금 인상으로 인한 물가 불확실성도 커졌다.

지난달 28일 한은 발표에 따르면 향후 1년간 소비자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주요 품목으로 공공요금(64.6%)이 가장 높았다.

류진이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디스인플레이션 현상이 부각되는 가운데 한국에서도 디스인플레이션 시그널이 발생했지만, 여전히 한국 물가에는 상방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더 크다고 판단된다”며 “(공공 서비스 물가는) 기저효과와 더불어 내년 서울 지하철 요금 150원 추가 인상 계획을 감안할 때 내년 상반기까지는 근원 소비자물가에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위클리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