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원 대표 "‘개식용 금지법’은 대한민국의 생명윤리를 바로 세우는 일"

다솜 김준원 대표는 "동물학대 반대 운동은 생명존중 운동과 궤를 같이 하므로 인간존엄성 회복 운동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사진=강이석 기자>

[위클리오늘=강이석 기자] 최근 애견인구 증가로 그간 묻혀있던 동물학대가 사회문제로 대두된 가운데 동물보호단체의 ‘개식용 금지법’ 제정 촉구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올해는 평창에서 동계올림픽이 개최됨에 따라 우리나라도 국제적 위상과 그 기대에 부합하는 '생명윤리가 바로 서는 나라'로 탈바꿈돼야 한다는 지적들이 있어 왔다.

이런 가운데 <위클리오늘>은 그간 생명존중과 동물복지에 헌신해 온 동물보호단체 ‘다솜’의 김준원 대표를 만나 동물보호와 함께 생명윤리에 대한 그의 생각을 들어봤다.

Q 만나서 반갑다

<위클리오늘>의 동물관련 보도에 대해 늘 감사드린다. 말 못하는 동물들의 목소리가 돼 주신 것에 항상 고마움을 느낀다.

Q 동물보호 운동이 우리에게 왜 필요한가

동물학대는 어떤 이유에서든 더 이상 간과되거나 용납돼서는 안 된다. 동물학대가 중요하고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동물에 대한 폭력이 사람에게도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해서 동물학대 반대 운동은 생명존중 운동과 궤를 같이 하므로 인간존엄성 회복 운동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Q 부산 ‘구포 개시장 폐쇄’를 주장하고 계신데

부산의 대표 전통시장 ‘구포 시장’은 장날이면 많은 인파로 북적이는 곳이다. 하지만 개시장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개 도축 등으로 인해 도심 속 혐오시설로 존폐 논란이 야기돼 왔다.

특히 지난해 8월 구포 개시장의 동물학대 영상이 SNS에 공개돼 동물운동가들의 집중 질타와 사회적 공분을 사면서 폐쇄 논쟁이 다시 들끓고 있다. 부산시와 북구청의 결단이 필요하다.

Q 부산시 관할 구청의 행정지원은

부산 북구는 지난해 이 사건을 계기로 ‘구포 개시장 환경개선’ 대책 수립을 위한 전담팀을 구성해 부산시가 동물학대의 오명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정책 마련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개시장 폐쇄에 따른 보상이 한계점에 부딪혀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했다.

이제라도 부산 북구청은 TF팀을 구성해 구체적인 전업대책을 제시하고, 즉각 개시장을 폐쇄해야 한다. 사람과 같은 감정을 느끼는 동물에게 행해지는 가혹·학대 행위는 어떤 이유에서도 정당화 되지 못한다.

Q 지난해 동물보호 운동을 돌아보면

지난해는 무척이나 바쁘고 힘들었지만 보람된 한 해였다.

여론의 뭇매를 맞는 개고기 문제부터 ‘강아지 공장’에 이르기까지 동물보호 동물 이슈가 들끓은 곳이라면 언제나 생명존중과 동물보호 운동을 전개했다.

지난해만 30여 차례 시위현장에서 ‘생명존중’에 대해 목소리를 높였고 서울, 부산, 충주, 광주, 익산, 성남 모란시장 등 전국 곳곳에서 동물 구조활동을 펼쳤다.

특히, 광주 개농장 철거와 익산 유기견 규탄집회는 우리 활동가 모두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 일이었다.

Q 올해 목표와 향후 계획은

오랫동안 논란을 벌여온 강아지 공장 폐쇄, 개시장 폐쇄, 동물학대 반대 운동 등을 계속 전개할 것이다.

올해는 60년 만에 돌아오는 ‘무술년, 황금 개’ 해다. 그리고 평창 올림픽도 열리는 해다. 올해는 반드시 ‘개식용금지 특별법’ 제정으로 생명윤리와 인권보호가 바로 서는 생명존중 원년이 되도록 회원들과 함께 노력하겠다.

Q 동물보호 운동가로서 애로점은

학대당하는 동물들의 현실이 사회에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 동물보호 운동가로서 한계를 절감할 때가 아주 많다.

동물복지를 실현하는데 있어 진실을 밝히는 언론은 동물운동의 귀중한 후원자다. 언론은 보호받아야 할 동물들의 목소리이자 동물학대 현장 고발자다.

때문에 동물복지를 지향하는 국가정책 결정의 대변자로서의 언론에 그 역할을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위클리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