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클리오늘=임동권 문산제일안과 원장] 날아다니는 벌레가 눈 속에 보인다며 방문하시는 분이 적지 않다. 안과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증상이지만 당사자들은 평생 처음 보는 것이기 때문에 혹시나 시력이 나빠지거나 눈에 큰일이 생긴 것이 아닌가 걱정하며 상담을 한다. 주로 방문하시는 분들은 형태가 일정하지 않으나 실모양, 지렁이 모양, 날파리, 까만점, 고리 모양, 기타 등등 여러 가지로 묘사한다. 밝은 곳이나 하얀 벽지를 배경으로 보면 더 뚜렷이 보인다고 한다. 이럴 때 대부분의 경우가 비문증 혹은 날파리증이라고 불리는 유리체 혼탁으로 인한 증상이다.

사람의 눈 속은 축구공처럼 공기가 차있는 비어있는 공간이 아니라 유리체라는 젤리 성분으로 꽉 차있다. 이러한 젤리 성분 중 단백질과 섬유소의 변성, 유리체의 액화, 유리체의 수분손실과 함께 유리체가 수축되면서 결정체 들이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결정체가 눈의 망막(카메라로 비유하자면 필름에 해당)부위에 비쳐 보이면서 무언가 날아다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이외 흔치 않지만 망막질환과 연관된 전조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 안과를 방문하는 이유도 아주 드물지만 이러한 망막 질환과 구분을 위해서다. 이러한 망막질환은 유리체출혈, 망막박리, 뇌와 관련된 출혈 등이 있는데 모두 시력저하를 유발 할 수 있으므로 처음 발견할 때는 안과를 방문하여 꼭 정밀 검사를 받아야 한다.

이러한 비문증의 원인은 노화현상으로 설명하나 종종 젊은 사람에게서 발견된다. 만약 이같은 증상이 나타날 시 망막 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다.

비문증과 동반된 증상으로 불이 번쩍거리는 증상(광시증)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 또한 눈 속을 꽉 채우고 있던 유리체가 액화 되거나 수축되면서 유리체와 망막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고 눈을 움직일 때마다 유리체가 흔들리면서 망막을 자극할 때 번쩍거리는 불빛이 보인다고 표현한다. 이는 머리나 눈이 충격을 받았을 때 별이 보이는 것과 같은 이치다.

어떤 사물을 보고 인지하는 것은 빛 또는 물리적인 에너지가 망막의 신경을 자극하고 이러한 신경자극이 뇌에 전달 될 때 비로써 색깔이나 모양 형태를 알아보게 되는데 이러한 미세한 유리체의 자극이 뇌에서는 불빛으로 보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증상이 없던 사람이 어느 날 갑자기 이러한 증상이 생긴다면 자꾸 신경 쓰이게 되어 눈에 대한 걱정과 짜증이 동반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증상을 없앨 방법은 무엇일까. 아직 특별한 방법은 없다. 주로 우리 몸이 피곤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생기기 때문에 휴식을 취하면 좋아지기도 하고 결정체들이 위치가 바뀌면 시축에서 사라져 흡사 없어진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다가 어느 날 갑자기 보이기도 한다. 또 나이가 더 들면 젤리성분의 유리체가 액화 되면서 결청체가 가라앉아 눈에 띠지 않게 된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 눈에서 잠깐 사라질뿐 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이러한 혼탁을 수술적 치료나 레이져 치료를 통하여 없앨 수는 있으나 이는 벼룩 잡기위해 초가집을 태우는 격이다. 비문증은 비문증 자체로서가 아니라 발견당시 안과를 방문하여 다른 질환과의 감별진단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작권자 © 위클리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