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정상회담 앞두고 SMR 공동개발 등 원전 관련 협의 진행
SMR, 대형 원전 단점 보안한 차세대 원전으로 불려
윤 대통령, 대선 후보 시절부터 SMR 육성 강조

▲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위클리오늘=김현태 기자]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첫 번째 정상회담에서 원전 동맹이 성사될 전망이다.

지난 19일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한미 양국은 오는 21일에 열릴 예정인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원전시장 공동진출, 소형모듈원전(SMR) 공동개발 등에 관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국은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원전 도입이 필요하다는 점에 공감하고 관련 부처와 함께 협업을 진행해나갈 계획이다.

특히 차세대 원전이라 불리는 SMR과 관련된 핵심 기술 공동 개발을 위한 협력 방안도 나올 것으로 보인다.

SMR은 기존의 대형원전(1000~15000MW급)의 3분의1에서 6분의1 수준의 출력을 가진 소형원전을 말하며 ▲낮은 붕괴열 ▲출력조절이 가능한 설계 등 장점이 있다.

대형 원전에 비해 출력이 낮아 연료봉의 붕괴열을 식히는 것이 쉬워 지난 2011년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같은 참사를 미리 예방할 수 있고 출력조절이 가능하게 설계돼 전력 생산량 변동에 대한 유연한 대처를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SMR은 원전의 막대한 전력 생산이라는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대형 원전이 갖고 있는 방사능 사고 위험, 높은 전력 생산 의존도 등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어 차세대 원전으로 불린다.

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차세대 원자로 기술과 SMR 개발에 7년 간 32억달러(약 3조6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확정한 상태이며, 국내에서는 두산에너빌리티, 삼성물산, GS에너지 등이 미국 SMR 개발회사인 뉴스케일에 투자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SMR 등 차세대 원전 적극 개발을 공약으로 내세운 바 있으며 이후 110대 국정과제에서 탈원전 정책 폐기를 위한 방안으로 SMR 사업을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SMR은 ▲높은 제조 및 관리 비용 ▲대형 원전과 동일한 핵폐기물 생성 ▲불확실한 기술 개발 가능성 등 단점도 제기되고 있다.

한편 이번 한미정상회담에서 원전 외에도 반도체, 배터리, 인공지능(AI), 친환경 녹색기술 등 핵심 기술에 대한 상호 협력 방안도 논의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위클리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