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 공동성명 통해 ‘원전 동맹’ 선언
한국 원전 기술력·미국 외교력 등 시너지 효과 기대
차세대 원전 기술인 SMR 협력 강화 방안도 나와

▲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21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대강당에서 한미정상회담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21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대강당에서 한미정상회담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위클리오늘=김현태 기자]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첫 한미정상회담에서 ‘한미 원전 동맹’이 성사됐다.

한미 정상은 지난 21일 공동성명을 통해 “탄소제로 전력의 핵심적이고 신뢰할만한 원천이자, 우리의 청정에너지 경제를 성장시키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며, 글로벌 에너지 안보 증진을 위한 필수적인 부분으로서 ‘원자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양국은 ▲선진 원자로 및 소형모듈형원전(SMR)의 개발과 전 세계적 배치 가속화 ▲핵비확산의 가장 높은 기준에 따른 글로벌 민간 원자력 협력 참여 ▲한미 원전기술 이전 및 수출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 체결 ▲사용 후 핵연료 관리, 원자력 수출 진흥, 연료 공급 확보 및 핵안보를 위한 협력 강화 등 원자력 협력을 더욱 확대해 갈 방침이다.

이에 따라 한국의 원전 건설 기술과 미국의 외교력을 통해 중국과 러시아가 주도하고 있는 원전 시장의 판도를 위협할 수 있을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초 산업통상자원부가 대통령 원전 세일즈와 관련해 제작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원전의 건설 단가는 전력 1kW 당 3571달러로 프랑스(7931달러), 러시아(6250달러), 미국(5833달러), 중국(4174달러)보다 낮은 세계 최저수준의 건설비용을 확보하고 있다.

아울러 지난 2017년 11월 유럽사업자요건 인증을 취득하고, 2019년 8월에는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 설계인증을 취득하는 등 선진국 인증을 통해 안정성 측면에서도 높게 평가받은 모습을 보였다.

미국의 경우 1979년 스리마일 원전 사고 이후 신규 원전 건설을 최소화했고 이 과정에서 원자력 산업 기반이 무너졌다.

미 행정부는 작년 보고서에서 2030년까지 세계 원전건설시장을 5000억~7400억달러로 추산하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와의 협력을 기반으로 원자력 산업 복구를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미 원전 동맹을 통해 차세대 원전이라 불리는 SMR과 관련한 협력도 긴밀해질 전망이다.

SMR은 기존의 대형원전(1000~15000MW급)의 3분의1에서 6분의1 수준의 출력을 가진 소형원전으로 낮은 붕괴열과 출력조절을 통해 ▲방사능 사고 위험 예방 ▲유동적인 전력 생산 등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두산에너빌리티, 삼성물산, GS에너지 등 국내기업이 세계 1위 SMR 개발회사인 미국 뉴스케일파워에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 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마친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 “신형 원자로 및 SMR의 개발과 수출 증진을 위해 양국 원전 산업계가 함께 노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위클리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