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22일 워싱턴에서 열린 세계은행(WB)과 국제통화기금(IMF)의 춘계 회의에서 크리스틴 라가르드 IMF총재(왼쪽)와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이 담소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위클리오늘=홍정기 기자] 반도체를 필두로한 수출의 고공비행과 신 정부출현 기대감 등으로 대한민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속속 상향조정하는 가운데 IMF(국제통화기금)은 성장률을 유지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IMF는 8일(현지시간) 한국의 수출이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고 진단하면서도 한국의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지난달과 같은 2.7%로 유지했다.

IMF는 이날 싱가포르에서 발표한 '2017 아시아·태평양 지역경제전망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올해 성장률이 최근 수출 개선에도 불구하고 소비 약세 탓에 2.7%에 정체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이 지난달말 발표한 우리나라의 지난 1분기 경제성장률이 0.9%다. 이에 따라 국내외 관련기관이 성장률을 잇달아 상향 조정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IMF의 '유지' 전망은 이례적인 결과로 풀이된다.

실제 최근 우리 경제는 국정농단 사태 후유증과 중국의 사드보복 등 악재를 딛고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수출이 고공비행을 계속하며 경제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톡톡히 하고있다.

10일 출범하는 신정부의 추경예산 편성 등 양적완화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 그러나 IMF의 판단은 달랐다. 조기 대선 등으로 인한 '정치적 불확실성(political uncertainty)'과 저조한 소비가 여전히 한국경제의 발목을 잡고있다는 진단이다.

지난달 중순 IMF가 3월 전망치에 비해 0.1% 상향조정했기 때문에 추가 조정을 하지 않은 것으로도 보인다. 당시 IMF는 '2017 세계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한국의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을 3월의 2.6%에서 1개월 만에 2.7%로 0.1%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IMF는 아태 지역 경제가 여전히 견실한 것으로 평가하면서 전체 성장률 전망치도 5.5%로 유지했다.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의 거의 두배 수준이다.

이창용 아태 담당국장은 "아태 지역의 성장 징후가 현재까지는 고무적"이라며 "이 지역이 직면한 정책적 시험대는 이런 모멘텀을 유지하고 강화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IMF는 다만 미국의 금리인상 요인이 여전히 아태 지역에 엄청난 인플레이션 압박을 가하는 점은 위험 요소로 지목됐다. 미국은 트럼프정부 출범이후 계속 금리를 인상하고 있다.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부활하는 신 보호무역주의가 무역 의존도가 높은 아시아 경제에 타격을 주는 한편 지정학적 긴장 상태가 단기 성장을 저해할 가능성도 제기됐다.

한편 한국은행이 지난달 27일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 앞서 발표한 1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총 383조 5995억원으로 전기 대비 3조3546억 원(0.9%↑) 올랐다. 이는 지난해 2분기 이후 최대 성장률이다.

저작권자 © 위클리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