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건설기업 41.6%, 영업이익보다 이자비용이 더 많아
고금리 기조, 건설원가 증가 등 건설업 위기 이끌어
건전영 “내년 이후 건설업 부실 본격화…유동성 공급 등 필요”

▲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63 빌딩 전망대에서 한 시민이 서울 시내를 내려다 보고있다. 사진=뉴시스
▲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63 빌딩 전망대에서 한 시민이 서울 시내를 내려다 보고있다. 사진=뉴시스

[위클리오늘=김현태 기자] 우리나라 건설기업의 40% 이상이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에 놓인 가운데 향후 건설업 전망도 어두운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의 '건설외감기업 경영실적 및 한계기업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건설기업(외감기업 기준) 가운데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기업은 929곳으로, 건설업 전체의 41.6%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자보상배율 1 미만 기업은 지난 2018년 32.3%(642곳)를 기록한 이후 4년 만에 약 10%p 상승했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금융비용(이자비용)으로 나눠 산출한 지표로 기업의 채무상환 능력을 나타낸다.

해당 지표가 1 미만인 기업은 영업이익보다 이자비용이 많은 만큼 잠재적으로 디폴트 우려가 있는 ‘취약기업’으로 분류한다.

특히 이자보상배율이 3년 연속 1 미만을 기록해 외부 도움 없이 정상적인 경영활동을 유지하기 어려운 '한계기업'은 387곳으로, 전체의 18.7%를 차지했다.

디폴트 위기에 놓인 국내 건설기업이 급증한 이유는 ▲고금리 기조 ▲건설원가 증가 ▲부동산시장 침체 등으로 풀이된다.

김태준 건전영 연구위원은 “최근 한계기업의 증가는 코로나 팬데믹 시기의 저금리 기조에 따라 부채의 증가가 이루어졌으나, 물가상승에 따른 금리인상으로 인해 이자비용 부담이 급증한 것을 원인으로 들 수 있다”며 “우크라 전쟁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한 건설자재의 상승으로 인해 건설업체의 수익률이 악화된 것도 영업이익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내년 건설업이 위축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등 건설기업의 디폴트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달 초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내년 국내 건설수주액은 187조3000억원, 건설투자는 260조7000억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1.5% , 0.3%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김 연구위원은 "내년 이후 건설업체의 전반적인 부실은 본격화될 것"이라며 "이미 상당히 진행된 공사들이 중단되지 않도록 건설업계의 유동성 공급을 현실화하고 부실기업들에 대한 선제적인 구조조정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대규모 건설업 디폴트 우려가 발생한 중국의 경우 사상 처음으로 건설기업의 ‘무담보 은행 대출’을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위클리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