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개골 탈구' 증상과 치료
수술만큼 중요한 것은 예방
레이저 치료, 수중 런닝머신, 한방치료 등 다양한 재활치료

이지연 수의사, 수의외과학 전공
이지연 수의사, 수의외과학 전공

[위클리오늘신문사] 아이들이 산책을 하다가 갑자기 뒷다리를 절뚝거린다거나 한 번씩 한쪽 발을 들고 걷지는 않나요? 용변을 보지 않았는데도 뒷다리를 불편한 듯 뒤로 쭉쭉 차는 행동을 하지는 않았는지요?

이러한 행동들은 ‘슬개골 탈구’의 대표적인 증상들이며, 슬개골 탈구(무릎뼈 탈구)는 강아지에서 흔하게 확인되는 정형외과적 질환이고, 뒷다리에서 파행을 나타내는 가장 대표적인 질환입니다.

무릎관절은 대퇴뼈와 정강뼈가 경첩처럼 접히고 펴지는 모양으로 관절운동을 하게 됩니다. 슬개골(무릎뼈)은 독립되어 있는 아주 작은 뼈이지만 무릎관절의 기능 및 안정성에 큰 기여를 하는 중요한 구조물입니다. 대퇴뼈 고랑 위에 위치하여 무릎관절이 일직선 상에서 원활하게 운동할 수 있게 해줍니다.

슬개골 탈구란 정상적으로 대퇴고랑 안에 위치해야 할 슬개골이 안쪽 혹은 바깥쪽으로 빠지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슬개골이 탈구되는 정도에 따라 단계를 나눌 수 있지만, 아이들이 아파하거나 불편해하는 증상은 단계와 무관하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슬개골 탈구가 1-2기 정도로 초기 진행 상태이지만 탈구가 일어난 다리를 딛지 못하고 아파하기도 하는 반면, 슬개골 탈구가 4기에 가깝게 진행이 되어 뼈의 변형까지 생겼음에도 불구하고 아파하지 않고 잘 걸어 다니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양쪽 슬개골 탈구가 진행된 환자의 방사선 사진. 사진=조양래 동물의료센터
양쪽 슬개골 탈구가 진행된 환자의 방사선 사진. 사진=조양래 동물의료센터

그렇다면 슬개골 탈구의 치료는 어떻게 해주어야 할까요?

슬개골 탈구의 치료를 위해선 우선 슬개골 탈구가 일어나는 원인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슬개골은 독립된 구조이다 보니 주변 인대 및 힘줄 구조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조들이 늘어나거나 슬개골을 잡아주는 힘이 약해지면 슬개골의 탈구가 쉽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대퇴고랑이 적당한 깊이로 형성되어 있지 못해 슬개골을 담아주지 못하고 얕아져 있는 경우 슬개골이 쉽게 빠질 수 있게 됩니다.

슬개골 탈구의 치료는 이러한 원인이 되는 요소를 보강해주는 방법으로 진행됩니다. 슬개골을 고정시키는 주변 구조물들의 힘을 균형있게 맞추어주고, 슬개골이 담겨져 있는 고랑을 깊게 파주는 등의 식으로 말이죠.

하지만 안타깝게도 슬개골 탈구는 상처가 회복되는 과정처럼 약을 먹거나 치료를 한다고 해서 정상의 상태로 돌아오는 질환이 아닙니다. 어느 정도 회복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완치의 개념보다는 증상의 개선 쪽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슬개골 탈구의 근본적인 치료는 수술적으로 교정을 해주는 것이며, 약해진 주변 구조물을 안정화시켜주거나 대퇴고랑을 깊게 파주고 정상 해부구조에 가깝게 뼈를 재정렬시켜주는 방법 등으로 진행됩니다.

하지만 수술을 하는 것 만큼 중요한 것은 슬개골 탈구가 생기지 않도록 미리 예방을 해주는 것입니다.

컴퓨터 작업과 같이 오랜 시간 한 자세로 일을 하는 경우 어깨가 뭉쳐 고개를 이리저리 돌리며 어깨 근육을 풀어준 경험을 한 번씩 해보셨을 겁니다. 또 무리한 운동을 하거나 등산을 하고 나서 다리가 뭉치고 나면 다리를 쭉쭉 뻗으며 스트레칭을 하기도 하죠.

이처럼 사람은 몸에 불편한 곳이 생기면 그 불편감을 해소하기 위해 본능적으로 반응할 수 있지만, 동물들은 조금 다릅니다. 아픈 곳과 불편한 정도를 정확히 표현하지 못하고 끙끙거리거나 아파하기만 할 뿐입니다.

보통 슬개골 탈구는 한순간에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서서히 진행되기 때문에 아이들이 만성적인 통증에 익숙해져 참고 지낼 수도 있습니다. 그러다 무리한 운동을 하거나 발을 잘못 딛는 경우에 한 번씩 다리를 절뚝이는 것이 확인되고는 합니다.

보호자분께서 아이의 상태를 알아차릴 때는 이미 슬개골 탈구가 많이 진행되어져 있는 경우가 대다수이죠.

사람들이 건강해지기 위해 헬스, 등산, 수영 등을 하는 것처럼 동물들도 아이의 상태에 맞는 운동을 골라서 할 수 있는 시대가 왔습니다.

레이저 치료, 체외충격파 치료, 극저온냉각 치료, 도수치료, 수중 런닝머신 등 아이가 아파하는 부위 혹은 아이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재활치료가 가능해졌습니다.

더불어 동물에서의 한방치료도 활발해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같은 슬개골 탈구 수술을 받더라도 수술 후 재활치료를 병행한 환자들에서 회복 기간이 더 짧아지는 것을 많이 경험해보았습니다.

나아가 슬개골 탈구 수술을 받았다 하더라도 십자인대 손상이나 관절염 등으로 고생하고 있는 아이들에게서 재활치료는 더욱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재활치료(레이저 치료)를 받고 있는 아이의 모습. 사진=조양래 동물의료센터
재활치료(레이저 치료)를 받고 있는 아이의 모습. 사진=조양래 동물의료센터
재활치료(침 치료)를 받고 있는 아이의 모습. 사진=조양래 동물의료센터
재활치료(침 치료)를 받고 있는 아이의 모습. 사진=조양래 동물의료센터
수중 재활치료를 받는 아이의 모습. 사진=조양래 동물의료센터
수중 재활치료를 받는 아이의 모습. 사진=조양래 동물의료센터
재활치료(극저온 냉각치료)를 받고 있는 아이의 모습. 사진=조양래 동물의료센터
재활치료(극저온 냉각치료)를 받고 있는 아이의 모습. 사진=조양래 동물의료센터
재활치료(운동 치료)를 받고 있는 아이의 모습. 사진=조양래 동물의료센터
재활치료(운동 치료)를 받고 있는 아이의 모습. 사진=조양래 동물의료센터
재활치료(체외 충격파 치료)를 받고 있는 아이의 모습. 사진=조양래 동물의료센터
재활치료(체외 충격파 치료)를 받고 있는 아이의 모습. 사진=조양래 동물의료센터

견생 20세 시대에 아이들이 오래 사는 것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살아가는 것입니다. 이렇듯 통증에 대한 관리가 중요하게 대두되는 만큼 아픈 아이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선택지가 많아지는 것이 다행이라 여겨집니다.

가벼운 통증반응이라 여기고 쉬이 넘기다 보면 아이들에게서 걸음을 내딛는 모든 순간이 고통스럽게 다가올 수 있습니다.

우리 아이가 표현하는 작은 불편함에 조금만 더 관심을 가져준다면 아이도 우리도 모두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함께 살아갈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이지연 수의사, 수의외과학 전공>

저작권자 © 위클리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