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경영시스템 인증 ‘ISO 9001’ 획득

[위클리오늘=이진우 기자] 인공지능(AI) 기술 스타트업 무하유가 한국콘텐츠진흥원의 ‘공유 저작물 분석 기술 개발’ 과제를 수주했다.

무하유는 13일 “한국콘텐츠진흥원의 '공유 저작물의 글로벌 확산을 위한 콘텐츠 분석 및 유형정보 판단 기술 개발' 연구개발(R&D) 과제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무하유는 AI 기술 스타트업으로 ▲AI 기반 표절 검사 솔루션 '카피킬러' ▲AI 기반 표·이미지 식별 솔루션 '비주얼체커' ▲생성형 AI 탐지 서비스 'GPT킬러' 등을 운영하고 있다.

업체에 따르면 이번 과제는 2025년 4월 1일부터 2026년 12월 31일까지 총 21개월간 진행된다.

무하유가 주관기관을 맡아 기술 개발 파트 전반을 담당하며, 숭실대학교, 내부감사 전문기업 에이치엠컴퍼니가 참여기관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해 연구를 진행한다.

무하유가 수행하는 연구개발 과제는 AI 기술을 활용해 공유저작물 분야의 저작권 분쟁과 활용도 제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제로 현재 공유저작물 분야는 저작권 분쟁과 권리 관계 불분명으로 인해 활용도가 제한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공유저작물의 확산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분석과 분류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주요 연구 내용은 공유저작물에 대한 AI 분석 및 자동 분류 기술 개발이다. AI가 플랫폼에 업로드된 콘텐츠가 실제 저작물인지 자동으로 판단하고, 이미지·영상·텍스트 등 다양한 형태의 공유저작물을 유형별로 분류하는 기술을 개발한다.

기존 저작물과의 유사성을 비교 분석해 중복이나 표절 여부를 찾아내는 시스템도 구축한다. 이러한 AI 기반 분석 및 유형정보 판단 기술의 실효성을 검증하는 실증 연구도 함께 진행될 예정이다.

개발될 기술은 공공 공유저작물의 활용성과 접근성 강화를 위해 활용될 예정이다.

AI를 통한 자동 분석과 분류로 저작권 분쟁을 사전에 예방하고, 공유저작물의 글로벌 확산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교육, 공공, 민간 영역에서의 2차 활용 확대를 지원한다.

무하유 신동호 대표는 "공유저작물의 글로벌 확산은 한국 콘텐츠 산업 발전의 핵심 과제 중 하나"라며 "무하유의 AI 기술력을 바탕으로 공공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기술을 상용화하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전했다.

이어 “이번 과제를 통해 개발된 기술이 저작권 분쟁 예방과 공유저작물의 활용성 증대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무하유는 지난 7월 국제표준화기구(ISO)의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인 ‘ISO 9001’을 획득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위클리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